쓴다,,, 또 쓴다 - 문학은 문학이다
박상률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필이란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따위를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기술한 산문 형식의 글을 말한다.

내용과 형식에 얽매이지 않기에 인문학 보다는 쉽게 여유롭게 읽어내려 갈 수 있고 소설 보다는 좀 더 깊이있게 생각하면서 읽을 수 있는 게 수필인 것 같다.

채소처럼 시원하면서 깨끗한 과일 향과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해야할까!

 

이 책이 바로 이런 수필의 특징에 맞게 저자가 경험한 삶의 고백과 한 평생 살아가며 느꼈던 삶의 이야기들을 자유롭게 써 내려가고 있다.

 

글이란 쉽게 써지는 것은 없다. 그래서 저자는 책 제목처럼 쓰고, 또 쓰고, 또 쓴다.

글을 쓰다보면 쓰는 요령도 터득하게 되고, 글을 안 쓰다 다시 쓰려고 하면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쓰고, 또 써야 잘 써진다 라고 말한다.

작가는 오로지 쓰는 사람이고, 평가는 오로지 독자의 몫이기에 작가는 끊임없이 글을 쓰고 또 써야한다 라고 말 하고 있다.

이런 작가의 글들을 우리는 읽고, 또 읽었으면 한다.

어떤 장르의 글이든 쉽게 읽어지는 것은 없다. 읽고, 또 읽고 , 읽는 과정이 있어야 다양한 글을 읽을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우리의 삶의 영양분이 되어 우리들을 더 성장할 수 있게 만드는 자양분이 될 것이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언제고, 어디에서나, 무엇이든 무작정 써야하고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간혹 말의 의미를 잘 모르고 살아갈 때가 있는데 잠시나마 이 책의 말의 속내를 읽어 보며 다시 한 번 진정한 말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을 가질 수가 있을 것이다.

사람에 대해 누가나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무도 그렇고 사람 또한 그러하다.

너무 먼 거리는 외로움을 느끼겠지만 적당한 거리에서 그리움 마음을 가지고 사람을 대한다면 사랑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 얼굴이라는 작품이 있는데  애초에 타고난 관상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말을 하고 삶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얼굴은 달라지고 우리의 삶 또한 변화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글을 쓰고, 좋은 글을 읽는다면 우리의 삶 또한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글은 생각만으로 되지 않고 말(언어)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생각하는 것을 말로 표현하고,

말로 표현한 것을 행동으로 행할 때, 바로

행동으로 말을 증명하는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