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드무비 > 화초머리 올리는 날
신 기생뎐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읽는 책마다 이렇게 맛있을 수가 없다.
올리는 리뷰마다 계속해서 별 다섯 개니 내가 너무 헤퍼졌나 하여 별 하나를 깎으려 해도
도저히 그럴 수가 없다. 
소설 뒤에 실린 작가의 말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이 소설은 소재가 작가를 선택했다.
기생들이 불현듯 나를 불렀고, 나는 그들이 불러주는 말을 받아 적었다.(254쪽)

이런 소설을 읽으면, 소설가로 태어날 운명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만약 영화감독이라면 <신기생뎐>이라는  제목의 영화를 만들 텐데......)

뒤란의 꽃들도 '라도레미솔~' 계면조 음계로 진다는, 이 지상의 마지막 기생집 부용각.

어느 날 지방 출장길에 해장할 식당을 찾다가 골목길에 낭자하게 흐르는 어느 여인의 소리와
활짝 핀 능소화에 홀려  홀린 듯 담 안으로 걸어들어갔다가 그만 20년을
아침마다 기생들 방 앞에 꿀물을 갖다바치는 삶을 택한 남자.

여덟 살에 권번에 입문, 그때부터 예순이 된 지금까지 단 한 순간도
기생이 아니었던 때가 없었다는 소리 기생 오 마담.
'이것이다 저것이다 생각하지 않고 내 마음가는 대로 살았다'(218쪽)는 멋진 여인이다.

남자를 믿지 않으므로 모든 걸 다 줄 수 있다는 그의 기막힌 역설이라니.
기생집을 드나드는 문화건달들, 그 중에서도 '자칭 사색형 인간'인 미스 민의 애인이나
자칭 향토사학자 같은 이중적인 인간들은 흉내조차 낼 수 없다.

이 소설 최고의 장면은 아무래도 소리기생 미스 민이 화초머리 올리는 날 추는 살풀이춤.
바로 옆에서 지켜보는 듯 신명나게 섬세하게 또 에로틱하게 묘사하고 있다.

화초머리 올리는 날보다 더 내게 더 인상적인 장면은, 홍어와 돼지고기를 삶느라
쾌쾌한 냄새와 훈김으로 자욱한 부용각 부엌에서 어느 날 밤 타박네에게 일어났던 일.
이 기막힌 홍어삼합을 만든 사람이 누구냐며 기어이 주방까지 얼굴을 보러온 취한 남정네는
타박네에게 있어서는 단순한 치한일까, 아니면 하룻밤 로맨스의 주인공일까?

부용각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는, 어쩌면 이 땅의 마지막 기생이 될지도 모르는 미스 민이
자신의 어머니와 다름없는 오 마담에게 수치와 모욕을 준 손님을 대하는 태도를 보라.

--세상엔 못 참을 일도 못 볼 꼴도 없다.
모호하면서도 정확하게, 친절하면서도 심술궂게,
교활하면서도 솔직하게, 정중하면서도 무례하게,
민감하면서도 냉정하게 가는 것이 기생의 길일진대.(177쪽)

기생의 길뿐 아니라, 그것은 바로 내가 지향하는 것이기도 하다.
(영화를 만든다면 타박네 역할은 윤여정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조선인 > 능소화
신 기생뎐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9월
장바구니담기


여기 와서 가장 먼저 한 일이 뭔 줄 아는가. 담 너머로 늘어진 능소화를 베어낸 일이었네. 또 누군가 나처럼 햇빛이 무진장 쏟아지는 여름에 이 기방 거리로 흘러들게 될까봐. 줄기 마디마디에 흡반 같은 뿌리가 생겨나 담 따위야 너끈히 타고 넘는 능소화의 덩굴을 보게 될까봐. 담 밑에 뭉텅이 뭉텅이로 떨어진 능소화의 주홍빛에 눈이 멀까봐. 담을 타고 흐르는 소리야 막을 재간이 없지만 꽃에 눈이 멀면 돌이킬 수가 없는 법이거든. 능소화는 정말로 사람이 눈을 멀게 하는 독을 꽃잎에 숨기고 있다네. 옛말 못 들었는가. 능소화의 꽃가루가 들어가면 눈이 멀게 된다는 말. 그건 나 하나로 족하다는 생각이었지. 그래서 난 담 밑의 능소화부터 베어냈네.

‘파’ 음으로 떨어지는 꽃은 높은 가지에 핀 꽃이고 ‘레’ 음으로 떨어지는 꽃은 낮은 가지에 핀 꽃이다. 봄꽃이나 가을꽃보다 여름꽃 지는 소리가 잘 들리고 아침이나 낮보다 해질녘에 잘 들린다. 바람이 눅고 습도가 높은 날 운이 좋으면 뒤란에서 계면조 음계로 떨어지는 꽃들을 만나기도 한다. 능소화처럼 크고 무게가 있는데다가 일시에 떨어지는 꽃이라야 ‘라도레미솔’ 슬픈 계면조의 소리가 난다. 가지에서 금방 떨어진 꽃,바람을 타고 날아와 비단 운혜의 코에 걸렸다가 미끄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조선인 > 부용상사곡

 

 

 

 

여의니
그리워
길은 멀고
소식 늦어
마음은 임께
몸은 여기에
빗과 수건엔 눈물
님 오실 기약 없고
향각에서 종이 우는 밤
연광정에 달이 밝을 제
새우잠에 꿈 놀라 깨어보니
구름 너머 먼데 임 서럽구나
손을 꼽아 좋은 기약 기다리며
편지 읽다 턱을 괴고 우는구나.
야윈 얼굴은 거울 보니 눈물나고
노래에 흐느껴서 사람 보니 서럽다
은칼로 여린 창자 끊기야 어려울까만
신 끌고 먼 길 가는 길손에도 귀가 번쩍
아침 저녁 바라보며 그리는 맘 모르시나
어제도 오늘도 아니 오니 나 홀로 속는구나
대동강이 물이 되면 말을 달려 님 오려는가
수풀이 강물된 뒤에 배를 타고 님이 오려는가
만남은 짧고 이별이 기니 세상 인정 어찌 알리
가연 가고 궂은 인연 돌아오니 하늘 뜻 누가 알리
밤하늘 향기구름 선녀의 꿈이려니 누구를 꿈꾸었나
맑은 달밤 퉁소소리 아름다운 정 어느 뉘께 보내는가
잊으려도 못내 잊어 모란봉에 나서보니 고운 얼굴 늙어있고
생각말자 부벽루에 올라 보니 서러울손 푸른 머리 세었구나
규방 속이 외로워 이 간장 끊어지나 삼생가약 그 맹세 어찌 변하며
빈 방에 홀로 자니 눈물은 빗발치나 백년 곧은 마음 내 어이 변하랴
봄 꿈 깨어 죽창 여니 밀려드는 화류 소년 내게는 모두 다 무정한 손이요
비단옷 잡고 베개 밀고 춤과 노래 일삼으니 모두 다 가증하고 원망이로다
하루 세 번 문을 나서 바라보고 바라건만 임은 이렇듯이 박정하여 오지 않고

천리 머나먼 길 기다리기 어렵고, 슬픔 가득 외로운 이심정 그 어찌 될 것 인고
어진 님아 마음 돌이켜 강을 건너 돌아와서 옛 얼굴 그 모습 촛불 밑에 만나 주오
여린 여자 눈물로 황천 길 달 속에 울어 예며 슬픈 혼백으로는 만나지 말게 하소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조선인 > 운초 김부용

작가가 찾은 것은 김부용의 묘였던가? 이하 펌.

김부용(金芙蓉)은 1812년 평안도 성천에서 가난한 선비의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네 살 때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열 살 때 당시(唐詩)와 사서삼경에 통하였는데 문장가인 숙부에게 어려서부터 글을 배워 16세에 성천군 백일장에서 시로 장원을 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호는 운초(雲楚)이며 순조 때의 여류시인(女流詩人)으로 황진이(黃眞夷), 이매창(李梅窓)과 더불어 3대 시기(詩妓)로 불리운다.

열 살 때 부친을 여의고 그 다음해 어머니 마저 잃으니, 가세가 기울고 천애고아가 된 부용은 어쩔 수 없이 퇴기의 수양딸로 들어가 기생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열 아홉 살이 되었을 때 운초에게 일생의 전환기가 왔으니 성천에 신임 사또가 부임해와 운초의 특출한 용모와 재색을 아껴 자기 스승인 평양감사 김이양(金履陽)에게 소개를 하였다.

김이양(金履陽, 1755∼1845)은 호가 영천(淵泉)으로, 풍채가 뛰어나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예조 판서를 거쳐 평양감사를 역임하고 있었다. 신임사또는 정무가 대략 파악되자 운초를 데리고 평양으로 김이양을 찾아갔다. 특별히 아끼는 제자가 오자 김이양은 그를 위해 대동강가 연광정에서 환영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이 자리에서 신임 사또는 부용을 소개하였는데, 그 때 김대감의 나이는 이미 77세였고, 부용의 나이는 겨우 19세였다.

시문을 통해 일찍이 김이양의 인품을 흠모해 온 부용은 평양에 머물면서 김이양의 신변을 돌보아 드리라는 사또의 명에 기쁜 마음으로 따랐다. 천거에 대해 김이양이 거절하자, "뜻이 같고 마음이 통한다면 연세가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세상에는 삼십객 노인이 있는 반면 팔십객 청춘도 있는 법입니다."  라고 말하여 함께 했다고 한다. 두 사람은 비롯 김대감이 나이가 들어 남자 구실은 못해도 서로 마음을 나누며 정답게 지냈다.

그러던 중 김이양이 호조 판서가 되어 한양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이때 김이양은 직권을 이용하여 부용을 기적에서 빼내 양인의 신분으로 만들었다. 그런 다음 정식 부실(室)로 삼았으나, 훗날을 기약하며 혼자서 한양으로 떠나 갔다. 생이별을 한 운초는 재회의 날만 기다리며 외로움과 그리움의 나날을 보냈다. 몇 달이 가도 소식이 없자 원망도 많이 하였다. 기다림에 지친 부용은 피를 토하는 듯한 애절한 시 를 써서 인편으로 보냈다. 이 시가 부용이 남긴 가장 아름다운 '부용상사곡'이라는 보탑시(寶塔詩)이다.

학수고대하던 김이양이 사람을 보내 부용을 불러, 한양 남산 중턱에 신방을 꾸렸다. 그 집은 단촐 하였지만 숲이 우거졌고, 기화요초로 정원을 꾸며 '녹천당(祿泉堂)'이라 하였다. 김대감의 친구는 부용을 '초당마마(草堂)'라 불렀다. 김이양이 83세로 벼슬에서 물러나 한가한 생활을 하며 그들은 원앙새처럼 다정하게 지냈다.

김대감은 89세에 부용을 데리고 이 곳 천안 조상의 묘를 참배하였고, 그들이 깊은 인연을 맺은지 15년이 되는 1845년 이른 봄 김대감은 92세의 천수를 누리고 세상을 떠났다. 임종 시 김대감은 부용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리며 눈을 감았는데, 이 때 부용의 나이는 겨우 33세였다.

존경하고 사랑하는 님을 잃자 부용은 방안에 제단을 모시고 밤낮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애통한 심정을 시로 달랬다. 부용은 고인과의 인연을 회상하면서 일체 외부와의 교류를 끊고, 오로지 고인의 명복만을
빌며 16년을 더 살았고, 그녀 역시 님을 보낸 녹천당에서 눈을 감았다고 한다.

그녀는 임종 전 유언으로 말하기를, "내가 죽거든 대감마님이 있는 천안 태화산 기슭에 묻어주오.”라고 하고 다시 못 올 불귀의 객이 되었다 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조선인 > 기생의 사랑세인가
신 기생뎐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뒤집혔다. 이게 그냥 소설일리 없다고 생각했다. 군산 부용각으로 검색해 보기도 하고, 목포 부용각으로 검색해보기도 했다. 그러나 신기생뎐에 대해서만 줄줄이 검색될 뿐 어딘가 실재하고 있을 부용각은 잡히지 않아 애가 달았다. 그러다 문득 작가의 후기가 생각이 났다. 기생 부용의 묘를 찾았다 했겠다? 오마담과 미스 민의 전신이라 여겨지는 부용을 찾아 헤매기 시작했다.

여류시인 운초 김부용 묘

조선 순조조 1820~1869(약 49세)

평양감사였던 봉조하 김이양 대감의 소실로서 초당마마라고 불리웠음.
조선조 3대 여류시인 중 한 분이며 오강루 문집 등에 한시 350여 수 남김.
김대감과 사별 후 정절을 지키며 살다 유언에 따라 그의 묘 근처인 이곳에 묻힘.
1974년 묘를 찾은 후 매년 4월말 천안문화원 주최로 천안문인협회, 천안향토사연구소, 천안차인회, 그리고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추모 행사를 갖고 있음.

간신히 잡은 단서는 나의 기대를 배반했다. 기생으로 살다 죽은 이가 아니라 소실로 살았다고? 정절을 지켰다고? 에이, 설마 오마담이? 미스민이? 마우스를 잡은 손이 허망해지는 걸 뿌리치며 부용의 생애를 좀 더 뒤져봤다.

가난하지만 양반의 딸이었던 부용은 열 한 살 때 천애고아가 되는 바람에 퇴기의 수양딸이 되어 기생의 길에 들어섰다. 그러다 마을 사또의 명을 받아 평양감사를 하던 김이양의 수청을 들게 되었을 때 김부용의 나이는 겨우 19세. 반면 김이양은 이미 사내구실을 못하는 나이 77. 2세대에 달하는 나이차에도 불구하고 김이양은 부용을 기적에서 빼내 후실로 삼았지만, 호조판서가 되어 한양으로 부임하게 되자 부용을 남기고 떠나가버렸다. 김이양이 다시 부용을 찾은 게 언제인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83세로 벼슬에서 물러나기 약간 전인 듯 하며, 92에 죽을 때까지 부용과 함께 살았아 한다. 이때 부용의 나이가 33이었고, 조선시대에 드문 천수를 누린 김이양과 달리 부용은 그 후 16년간 정절을 지킨 뒤 49세에 눈을 감는다.

부용의 정절에 대한 온갖 찬사를 빼고 건더기만 추리니 위와 같다. 아무리 김이양이 풍채가 뛰어나고 시문이 뛰어났다 하나, 내눈에는 77 늙은이가 좋아서 수청을 들었다기 보다 마을 사또의 명에 따른 것으로밖에 안 보이고, 정절을 지켰다는 16년간 일체 외부와의 교류를 끊었다는 게 자청한 것이라기 보다 집안의 감시 탓은 아닐까 여겨졌다. 하여 얼핏 신분과 관습에 얽매인 가련한 여인으로 부용을 상상하게 되는데, 그녀가 남겼다는 시를 보니 이게 또 해괴하다.

(전략)
잊으려도 못내 잊어 모란봉에 나서보니 고운 얼굴 늙어있고
생각말자 부벽루에 올라 보니 서러울손 푸른 머리 세었구나
규방 속이 외로워 이 간장 끊어지나 삼생가약 그 맹세 어찌 변하며
빈 방에 홀로 자니 눈물은 빗발치나 백년 곧은 마음 내 어이 변하랴
봄 꿈 깨어 죽창 여니 밀려드는 화류 소년 내게는 모두 다 무정한 손이요
비단옷 잡고 베개 밀고 춤과 노래 일삼으니 모두 다 가증하고 원망이로다
하루 세 번 문을 나서 바라보고 바라건만 임은 이렇듯이 박정하여 오지 않고
(후략)

부용상사곡에 절절히 스며든 그리움에 두 눈이 휘둥그래지고, 어쩌면 그 연모의 또다른 끝은 숱한 남자를 믿지 못하면서도 사랑이든 몸이든 재산이든 달라는 대로 몽땅 내주는 오마담의 모습인가 싶기도 하고, 20년을 인내하는 박기사의 사랑을 끝내 모른 척 하려는 아집 같기도 하고, 혹은 문간에서 울먹이는 연인을 버리고 화초머리를 올리며 마지막 기생의 길을 걷겠다는 미스민의 기백인 듯 싶기도 하다. 어찌된동 신기생뎐이 펼쳐보인 요지경의 미망에 빠져 허부적대다 허부적대다 작가처럼 기생의 뒤태 사진이라도 찾아 붙여야겠다고 작정할 지도 모르겠다.

* 아쉬운 점 딱 하나.
소리기생인 오마담이 능소화 떨어지는 소리를 '라도레미솔'로 듣는다는 게 어째 어색하게 여겨진다. 그렇다고 궁상각치우도 안 어울리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