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301
오규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처럼 시집에 서시라 미리 밝히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언제나 서시는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시집 전체를 통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서시에서 이 시집의 낯설음을 발견한다. 그것은 시선의 변화와 이동이다. 바라본다는 것은 세상을 해석하는 방식이다. 시선의 이동과 관점은 변화는 그래서 중요하며 세상에 대한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 그리고 낮은 목소리로 그것들을 노래한다. 선명하고 분명한 이미지로.

호수와 나무
- 서시

잔물결 일으키는 고기를 낚아채 어망에 넣고
호수가 다시 호수가 되도록 기다리는
한 사내가 물가에 앉아 있다
그 옆에서 높이로 서 있던 나무가
어느새 물속에 와서 깊이로 다시 서 있다.

  오규원을 만나는 일은 언제나 즐겁다. 그것은 오래된 수첩과 대면하는 기분이다. 일기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개인적인 경험과 그의 시에 대한 기억들이 시인의 이미지를 만든다. 초기 시집 <분명한 사건>과 <순례>를 제외하고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 <이 땅에 씌어지는 敍情詩>, <가끔은 주목받는 생이고 싶다>, <사랑의 감옥>,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 <한 잎의 여자>,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 그리고 시선집 <사랑의 기교> 시론 <현대시작법>을 보면서 시간이 흘렀다. 연습장에 삶의 태도와 인식에 관한 짧은 명언들을 적던 무렵 오규원의 시는 ‘비가 와도 젖은 자는 젖지 않는다’는 식의 잠언들을 토해냈다. 초기에 그가 보여주었던 은유는 독특했고 관심의 내용 또한 특별했다. 새로움에 대한 관심으로 그의 시를 읽기 시작했다.

  해설에서 정과는 ‘은유와 환유라는 지칭의 모호성’, ‘오규원의 후기시에 대한 이해의 세부적 불투명’, ‘초기시와 후기시의 연속성에 대한 의문’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이번 시집을 분석하고 있다. 적당한 긴장과 세상에 대한 의문으로 대충(?) 시를 쓰는 시인들과 오규원은 차별화된다. 한국시의 한 기둥으로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의 자리매김이 끝나기 전에 그의 전집이 나왔지만 그의 전작이 수록되려면 아직 기다려야 한다. 그의 시는 초기에 은유에 기초하여 절대 관념에 대한 천착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그것은 김춘수와 닮아 있다. 다만 절대관념에서 출발한 시의 시방법론이 시점을 달리하여 관심의 폭과 영역을 넓혀 나가고 그것을 드러내는 방법을 달리 했을 뿐이다. 나는 그의 시에서 시선의 이동을 경험했다. 초기시에서 보여주었던 발상의 전환과 절대 관념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읽었다. 그의 시는 내 능력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매력과 깊이를 가졌기 때문이다. 그것은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와 낯설게 바라보는 색다른 시점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90년대 초반에 나온 <현대시 작법>에 밑줄 그어가며 읽었던 기억은 이제 추억(?)이 되어 버렸다. 책꽂이 한 켠에 꽂혀 지나간 삶에 대한 추억으로 기억될 것이다. 열정은 사라졌지만 추억은 남는다. 오규원의 시들은 초지 일관 변함없는 세계를 보여주는 시인들의 시와 구별된다.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에서 오규원은 ‘사물의 시선’을 차용한다. 인간의 시선과 생각을 외부 세계에 투영하는 대신 사물의 시선으로 인간의 모습을 바라보며 세상을 해석하거나 분석하기 보다는 관념화된 이미지를 풀어 놓고 있다.

하늘과 포도 덩굴

뒤뜰 포도나무
덩굴
혼자
하늘을 건너가고 있다
오늘은 반 뼘


서산과 해

고욤나무가 해를 내려놓자
이번엔 모과나무가 받아든다
아주 가볍게 들고 서서 해를
서쪽으로 조금씩 아주 조금씩 옮긴다
가지를 서산 위에까지 보내놓고 있는
산단풍나무가 옆에서
마지막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는 식이다. 그것은 외물에 대한 무심한 태도도 관조적 태도도 아니다. 감정이 배제된 철저한 관념의 세계가 자연에 투영되고 있는 것이다. 그 객관의 자리에서 오히려 익숙한 언어들이 생생한 이미지를 풀어내고 있다. 이제 그의 시세계는 완성(?) 혹은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서러운 한 생애가 저물어 가면서 토해내는 붉은 언어들이 그의 마지막을 아름답게 장식할 것이다. 한 편의 시와 한 권의 시집이 아니라 그의 전작들을 꼼꼼히 훑어보는 일은 나중으로 미루자. 다만 21세를 향한 그의 언어는 여전히 팽팽하게 긴장한 독자의 심장을 겨누고 있다. 그래서 두근거린다.


200508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