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문 문학과지성 시인선 302
김명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낮게 가라앉은 회색빛 하늘은 가끔 시간을 돌아보게 한다. 미래 지향적 시간이 아니라 현재나 과거의 시간을 즐기는 사람들이라면 내 안에 나를 가두기 위해 시를 읽는다. 김명인의 <파문>은 시간의 흔적 기관처럼 미래가 아닌 과거를 돌아보고 사물의 현상들을 꼼꼼히 짚어보고 있는 시인의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첫 시집 <동두천(1979)>과 <머나먼 곳 스와니(1988)> 이후 오랜만에 만나는 그의 시는 세월과 나이를 입고 있다. 시간 앞에 장사 없는 법이다.

  사물에 대한 투명한 시선이 차갑고 선명하다. 표현 미학의 한 정점을 이룬 듯 군더더기 없는 표현과 깔끔한 언어는 단연 돋보인다.

흐르는 물에도 뿌리가 있다
江을 보면 안다, 저기 ”U, 긴 뿌리
골짜기 깊숙이 묻어두고
줄기째, 줄기로만 꿈틀거려 여기 와 닿는 (‘흐르는 물에도 뿌리가 있다’ 중에서)

누가 순식간에 기웠을까 연두에 회장 둘린
군데군데의 산벚꽃
햇살 옮겨 구름 무늬 펼치는
신록 다채 저 초록 新衣를 보아라
환하게 드러나려다 감춰지는 실밥! (‘봄 산’ 중에서)

  흐르는 시간과 세월을 이겨낸 사물들과 그것들을 읽어내는 시인의 관점은 새롭거나 독자의 시선을 낯설게 하지는 못한다. 모든 시가 즐겁고 신선하게 독자에게 다가선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도 독자들은 여전히 두근거림과 미묘한 떨림을 기다린다.

  치열하고 뜨거운 열정을 좋아하거나 투박하고 거친 시선을 즐기거나 대상을 선택하는 것은 물론 독자의 몫일 것이다. 시인도 독자를 위해서(?)만 시를 쓰는 법은 없다. 하지만 편안하고 개인적 언어에 함몰된 시어들이 감동을 이끌어 내지는 못한다.

  언제나 벗어나지 못하는(?) 서정시의 딜레마! 그래서 혹자들은 시를 쓰거나 읽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시의 본질은 인간의 영혼을 치유한다. 커다란 규모로 덮치는 해일은 아니지만 작고 사소한 것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가득한 따스함을 즐기거나 내밀한 시인의 고백에 공감하거나 영혼의 울림에 동참한다. 그것이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관심의 대상과 무관하게 독자들은 ‘감동’을 원하는 것이 아닐까?

  사회적 진실을 은폐한 채 덤덤하게 살아가는 이 땅의 모든 백성들을 위하여, 혹은 개인적 진실을 외면하는 이 땅의 모든 사랑을 위하여 시는 여전히 존재한다. 시의 기능과 본질에 대해 숱한 논의들을 차치하고서라도 시인들은 여전히 시의 의미를 되묻고 있으리라 믿는다. 그 믿음으로 나는 여전히 시집을 펼쳐 들 것이다.


200508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