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B. 베리, [사상의 자유의 역사], 바오

1. 역자 머리말 중 12쪽에 저자가 트리니티 대학 고대사 교수를 지냈다고 했는데, 표지 날개에서는 저자가 트리니티 대학 현대사 교수였다고 했음. 어느 쪽이 맞는지?

2. 25쪽 세 번째 문단 넷째 줄, 프랑 책 → 프랑스어

3. 75쪽 세 번째 문단 둘째 셋째 줄,
그 어떤 수단 심지어 허위나 사기까지도 을 동원해서라도
→ 그 어떤 수단 심지어 허위나 사기 동원해서라도

4. 87쪽 첫 번째 문단 마지막 문장,
이러한 변화는 이탈리아 여러 소국 일부는 공화국이었고, 나머지는 전제군주에 의해 통치되었다 의 정치사회적 조건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 이러한 변화는 당시의 정치사회적 조건―이탈리아 여러 소국 일부는 공화국이었고, 나머지는 전제군주에 의해 통치되었다―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5. 100쪽 각주 15번 두 번째 문장,
(조르다노 브루노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혁교회가 모두 유럽의 복음화를 위한 투쟁 속에서 비정통 사상을 집요하게 고수하다가 화형대에서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유명하다.
→ (조르다노 브루노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혁교회가 모두 유럽의 복음화를 위해 투쟁하는 가운데서 비정통 사상을 집요하게 고수하다가 화형대에서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유명하다.

6. 108쪽 세 번째 문단 둘째 셋째 줄.
르네상스로 인해 조짐을 드러낸 결정적인 변화들 개인주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적 태도, 세속적 지식의 배양 은 변함없이 지속되었으며,
→ 르네상스로 인해 조짐을 드러낸 결정적인 변화들 개인주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적 태도, 세속적 지식의 배양 은 변함없이 지속되었으며,

7. 135쪽 둘째 줄, 로베스피에르가 정권을 잡은 때를 1795년 4월이라고 했는데, 앞면의 각주 25에서 로베스피에르가 1793년 공안위원회를 장악하고 1794년 사망했다고 나옴.

8. 135쪽 두 번째 문단 여섯째 줄,
세속적인 교육체계 → 세속적인 교육체계

9. 162쪽 각주 9번
영국 보통법의 역사에 관한 가장 위대한 학자 중 한 사람이다.
→ 영국 보통법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학자 중 한 사람이다.

10. 210쪽 여덟째 줄, 기교 → 기

11. 230쪽 각주 37번에 “Privy Council을 흔히 추밀원이라고 번역하는데, 이는 일본식 용어이다.”라고 했는데, 고려 때에 왕명을 전달하는 기관을 추밀원이나 중추원이라고 했다. 일본식 용어라고만 할 수 있을까?

12. 234쪽 밑에서 셋째 줄, 235쪽 위에서 열두째 줄에는 ‘바티칸 공회의’라고 나오고, 235쪽 넷째 줄에는 ‘바티칸 공의회’라고 나옴. 바티칸 공의회로 통일해서 표기하는 게 좋겠음.

13. 259쪽 두 번째 문단 둘째 줄, 사회권력 → 사회권력

14. 272쪽 세 번째 문단 여섯째 줄부터.
천문학과 지리학 (수학을 제외하고) 그리스인들이 가장 큰 진보를 이뤄낸 두 분야 에 관해 그리스인들이 알았던 것과 우리가 아는 것을 비교해보라.
→ 천문학과 지리학 (수학을 제외하고) 그리스인들이 가장 큰 진보를 이뤄낸 두 분야 에 관해 그리스인들이 알았던 것과 우리가 아는 것을 비교해보라.

15. 284쪽 넷째 줄. 이단의 굴레를 씌 → 이단의 굴레를 씌

16. 298쪽 밑에서 다섯째 줄. 포르투 → 포르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주미힌 2005-11-10 1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아... 역시 꼼꼼하세요..
저렇게 많다니... 심하다.

숨은아이 2005-11-10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박홍규 교수가 워낙 비문을 많이 써서요, 그분 원고는 편집자들이 문장을 많이 다듬어줘야 해요. 많이 고치다 보면 고치는 과정에서 또 오탈자가 생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