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의 독서 - 한 권의 책이 리더의 말과 글이 되기까지
신동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1월
평점 :

대통령의 철학은 한 개인에게 머무르지 않는다. 개인을 넘어 국가라는 큰 공동체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 국민들은 대통령이 될 만한 사람의 됨됨이를 보고 투표를 던진다. 됨됨이란 철학이다. 철학은 삶의 결정체다. 그 사람이 있게 한 주요한 바탕이 된다. 대통령 깜으로 철학이 탄탄한 사람을 뽑는다면 그 나라의 국민의 수준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결국 국민의 수준이 대통령의 수준을 결정한다.
대통령의 철학은 어디에서 비롯될까? 살아온 삶의 경험, 공부한 배경, 집안 환경, 함께 했던 공동체, 친구들, 평생의 동반자인 배우자 등 수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무래도 '독서'의 수준이 아닐까 생각한다. 독서의 수준을 보면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의 수준을 가름할 수 있다. 다양한 책을 읽고 깊은 생각을 하는 사람은 말의 품격이 있고 행동의 신중함이 있다. 한쪽으로 편향되어 있지 않다. 경청할 줄 안다. 겸손은 기본이다. 책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있듯이 독서가 그 사람의 철학을 만든다. 국가의 지도자인 대통령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독서의 내공이 남달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무나 대통령이 되는 것이 아니다. 운이 좋아야 대통령이 되는 것도 아니다. 대통령은 넓게 볼 수 있어야 하고 깊게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다양한 분야를 통찰하고 늘 배움의 자세로 임해야 한다. 옛 조선 왕조의 왕들도 경연이라는 시간을 통해 신하들과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학습에 학습을 거듭했다. 신하들과 국정을 논할 때 왕은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최소한 신하들과 어깨를 겨룰 정도의 식견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조선 왕조의 왕이 된다는 것은 늘 배움의 연속이었던 것처럼 대통령의 자리도 그렇다.
문재인 정부에서 연설 비서관을 지낸 신동호 작가가 대통령의 연설문을 작성하면서 대통령의 철학이 얼마나 중요한지 소회를 밝혔다. 연설 비서관은 대필 작가가 아니라 대통령의 철학을 글로 전하는 사람이다. 대통령의 철학을 가장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이 읽은 책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책을 가까이하는 대통령을 곁에 둔 연설 비서관은 부담스러우면서도 한결 마음이 가벼울 것 같다. 연설문을 작성하는 기초 자료를 책에서 얻을 수 있으니까 말이다.
『대통령의 독서』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재임 시절 읽었던 책들이 소개되어 있다. 신동호 연설 비서관이 추천하는 책도 소개되어 있다. 한 권의 책이 리더의 말과 글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문학적으로 잘 표현했다. 1장부터 20장까지 구성되어 있는데 내용이 촘촘하게 편집되어 있다. 비교적 글 밥이 많은 책이다. 한 줄 한 줄 빼 먹지 않고 정독하고 있다. 현재 14장까지 읽었다. 나머지 15장부터 20장까지 읽을 예정이다. 『대통령의 독서』에서 언급된 책 여섯 권을 인근 공공 도서관에서 빌려 왔다. 앞으로 긴 추석 연휴가 시작될 텐데 비상식량을 준비하듯이 여섯 권의 책을 미리 준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