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동안에 4계절이 있다'라고 영국의 날씨를 표현한 유명한 말이 있다. 이것처럼 영국의 날씨는 변덕스럽기 그지없다.

겨울에는 특히 안개가 자주끼고 흐린날이 많은데 10월말이 지나 우기에 접어들면 매일같이 비가 내려 늘 우산을 가지고 다녀야 할 정도다. 그나마 5월에서 10월까지는 비교적 날씨가 좋아 (물론 이기간에도 하루에 여러 차례 비가내려 날씨는 여전히 번덕스럽지만 말이다)여행하기에 좋다.

이기간 동안의 영국은 일년중 가장 아름다워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겐 유명한 명소들을 감상하고 즐기는데 더없이 좋은 시기이다.

우리가 흔히 영국이라고 부르는 나라는 공식명칭이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sland로 England, Scotsland, Wales, Northern Island의 네개지역이 정치적, 경제적으로 연합해서 구성된 나라다.

이러한 영국은 오래된 역사만큼이나 볼만한 명소들이 많은 곳으로 그 명소들을 둘러보다보면 그들이 전통을 얼마나 존중하는지 건물 하나하나에서 느낄 수 있다.

영국의 영웅 넬슨 제독이 트라팔가 해전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트라팔가 광장이라든지 커다란 시계탑으로 시계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직도 손으로 태엽을 감아 작동시키는 시계지기가 있는 빅벤과 국회의사당, 영국 국왕의 공식적인 궁전인 버킹검 궁전,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딕건축 사원인 웨스트민스터 사원, 세계 3대 박물관 중의 하나인 대영박물관,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며 런런데서 가장 큰 공원인 하이드파크, 템즈강과 템즈강 하류에 있는 빅토리아식 다리인 타워브리지,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성당인 성 바울성당, 런던타워, 현재에도 군인들이 보초를 서고 있는 에딘버러 성 등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명소들로 영국의 역사와 전통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곳이다.

이런 영국의 명소들을 여행할 때 특히 조심해야할 것이 있는데 하나는 지하철역 부근에서의 소매치기이고 또 하나는 밤거리이다. 영국하면 신사의 나라라는 이미지가 먼저 떠올라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지만 의외로 강간율이 높은 나라로 특히 템즈강 남쪽이 위험지역이다. 그래서 여성의 경우 밤거리를 혼자 다니는 것은 피하는 것이좋다.

▶영국의 차(Tea)문화
영국은 '먹는것'보다 '마시는것'이 더 발달한 나라다. 특히 매일 오후 4시 ~ 5시경 티타임이 정해져 있을 정도로 '차(Tea)문화'를 중요시한다. 다도 역시 매우 엄격해서 '찻잔을 데우고, 차를 넣어 뜨거운 물을 붓고 차를 우련낸후 찻잔에 우유를 따르고, 차를 부은 다음, 맨 마지막에 설탕이나 레몬조각을 넣는' 순서가 절대 뒤바뀌면 안된다고 한다.

▶영국의 음식
좀 과장된 표현이긴 하지만 프랑스인들이 영국음식을 가리켜 '혀에대한 테러' 라고 말했을 정도로 유럽음식 치고는 맛이 없기로 유명하다. 이 말처럼 영국의 음식은 맛있고 화려하기 보다는 검소한 편으로 한국사람들의 입맛으로 볼땐 지나치게 기름진 정도의 음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럽이면서 유럽과는 다른 분위기를 가진 나라 스페인, 스페인은 열정적인 춤을 추는 여인의 모습과 노래, 투우, 이글거리는 태양, 그을린 피부의 사람들, 그리고 건조한 흙길을 떠올리게 만드는 나라이면서 플라밍고, 탱고, 피카소, 돈키호테, 가우디 하면 떠오르는 나라이다.
이처럼 스페인은 생활속에 항상 춤이 있고 노래가 있고 또 열정이 있는 나라로 스페인 사람들은 항상 삶을 즐기면서 살아가는 열정적인 사람들이다.

이런 스페인은 지중해와 대서양을 접하는 유럽 남서부의 이베리아 반도에 위치하며 그 크기는 한반의 약 2.3배로 유럽대륙에서도 3번째 큰나라에 속하며 특색있는 지형과 해류의 영향으로 시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기후를 나타내는 곳이다.

이런 큰 지형과 다양한 기후의 영향을 받아선지 스페인의 음식은 지방에 따라 재료나 요리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달해 있다.
동부지방의 경우는 고기, 조개, 어류등을 재료로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되는 빠에야(Paella)와 가재요리, 콩과소세지의 스튜, 양배추를 넣은 메추리 요리가 주를 이루고 있고 북부지방의 경우는 콩스프 파바다, 조개의 찜요리 등 토속적인 해산물 요리와 청대구 헤이크 요리등이 그리고 남부지방에는 여름철에 차게 먹는 가스파초등이 있다.

여기서 소개할 요리는 스페인의 유명한 밥요리 빠에야 (Paella)인데 커다란 솥에 여러가지 해산물을 넣어 만들어먹는 요리로 스페인 사람들 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도 즐겨찾는 음식중의 하나다. 원래 빠에야란 말은 밑이 넓고 깊이가 얕은 뚜껑없는 팬을 의미하는 것으로 옛날 스페인 사람들은 포도 나무나 오렌지 나무 가지를 잘라 불을 지피고 그 위에 철판 냄비 빠에야를 건 다음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넣어 조리한 것을 여럿이 나누어 먹었다고 한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스페인 사람들의 식사습관은 어떨까.
스페인 사람들은 빵과 커피, 우유, 코코아 등을 마시는것으로 아침을 시작한다. 그리고 2시경부터 하루중 가장 푸짐한 점심을 먹게되는데 에피타이저, 메인, 디저트에 이르는 정식코스로 적게는 한시간 길게는 2~3시간에 걸쳐 담소를 나누며 식사를 즐긴다. 그리고 저녁을 10시 전후에 먹는것으로 하루의 식사를 마감한다.
그럼 아침과 점심, 점심과 저녁시간 사이의 긴 시간의 배고픔은 어떻게 달랠까. 우리가 배고픔을 달래는 것처럼 간단한 차나 간식거리로 해결한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스페인 사람들은 보통 하루에 5끼를 먹는셈이 되는것이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nPei 2004-08-24 1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페인의 노래(특히 집시 음악)은 좋구요. 플라밍고 기타 음악도 매우 정열적이면서 또 정서적이고. 그래서 아래 음악을 추천하겠습니다.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UID=1572345785&ISBN=2072436464
 


오스트리아는 지리적으로 유럽대륙의 중앙에 위치해서 옛부터 유럽의 중심지역할을 해왔으며 주변의 다양한 문화를 조화시켜서 발전시킨 곳이다.

그중 도나우 강을 중심으로 생겨난 오스트리아의 수도인 비엔나는 이 마을이 그 옛날 로마제국의 군사 요충지로 처음으로 문서에 기록되기 시작한 후에 지금은 음악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모짜르트의 체취를 제일 가까이서 느낄 수 있는 곳일 뿐더러 수많은 국제회의와 기구의 본부가 모여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비엔나는 1918년 부터 합스부르크 왕가가 700년 가까이 번영을 누렸던 곳으로 고색창연한 호프브르크궁전은 지금도 대통령의 집무실로 이용되고있는 유서가 깊은 곳이며 들과도심의 가로수들이 어우러진 고전적인 도시인 이곳은 관광객들에게 늘 풍성한 볼거리를 마련하여 주고 있다.
이뿐 아니라 이 나라 최대의 고딕 건물인 성 스테판 성당을 중심으로 국립 오페라 하우스같은 바로크 풍의 건물 양식도 눈여겨 볼만하다.

이러한 유명한 관광지에 어울리는 요리 이름이 있다. 이 곳 비엔나 요리도 주변의 요리를 흡수시켜 발전시켜온점이 특징인데 우리가 흔히 아는 비엔나 커피나 비엔나 소쎄지도 유명하지만 막상 그 도시에서 최고로 내세우는 요리는 바로 비엔나 슈니첼(vienna schnitzel)이다.
이 슈니첼이란 단어는 갈비를 뜻하는 독일어로 일종의 우리가 쉽게 보는 포크 커틀렛과 비슷한데 이 요리가 이 도시의 명물 요리이다.

또 다른 정통요리로는 카이저 슈마렌 이라는 요리도 있다. 달걀반죽,설탕,건포도가 주 재료인 요리로서 엄격한 코스에서는 후식으로 취급되지만 후식문화가 발달한 유럽에서는 하나의 식사기 되기도한다.
이러한 후식이외에도 모짜르트의 이름을 딴 모짜르트 쿠겔이라는 쵸코렛도 있다. 모자르트의 조그만 사진케이스 안에 담겨있는데 럼주가 들어있는 조그만 쵸코렛이다.

그리고 빼놓을수 없는 것이 우리에게 이름만큼 친숙한 비엔나의 커피이다. 터키만큼 커피에 대한 남다른 애착이 대단한 이곳에서는 커피의 종류도 많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비엔나 커피이다. 하지만 비엔나에서는 우리처럼 비엔나커피라고는 부르지 않는다.

이 곳에서는 유리잔에 생크림과 함께 나오는 이 커피를 아인슈패너 (Ein Spanner) 또는 카페미트 쉴라고버 (Kaffee mit schlagober)라고 불리며 차고 진한 모카에 바닐라 아이스크림과 생크림을 곁들인 아이스커피등이 있고 다양한 향 좋은 차도 즐길 수 있다.
이런 커피를 맛좋은 구겔후프나 사허토아네같은 과일잼을 넣은 초컬릿 케이크를 함께 곁들이면 훨씬 낫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08-23 15: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혹시, 실론티님의 미래의 꿈 중 하나가, <식도락 세계여행> 이신가요?
로또 당첨 되어 떠나게 되면, 곁다리로 저도 꼬옥! 데려가 주시어요.
그러시면, 다녀와서 지방분해 주사 10 시술권 정도는 끊어드릴께요.^____^

ceylontea 2004-08-23 15: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들켰당..
맞아요... 식도락 여행하고 싶어요... ^^
 


세계각지에서 몰려드는 관광객을 위한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먹거리와 볼거리가 풍부한 홍콩은 80, 90년대 홍콩의 침울함과 혼란스러움을 머금은채 화려함으로 사람들에게 다가서는 세계적인 관광도시다.

홍콩은 우리에게 영화로 먼저 알려진곳이다.
80년대엔 장국영, 유덕화, 주윤발 등의 배우들이 등장하는 액션영화로 그리고 90년대 초엔 '왕가위신드롬'을 일으켰던 중경삼림, 타락천사 등의 영화로 우리의 관심을 끌었었다.
하지만 지금 홍콩은 이러한 영화보다도 화려한 야경을 자랑하는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더 많이 인식돼있다.

▶ 홍콩은 어떤도시인가

중국어와 영어를 공식언어로 쓰고있는 홍콩은 서울의 두배정도 크기에 홍콩섬과 구룡반도 그리고 신계지를 비롯한 260여개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고 680여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또 홍콩은 아열대 지방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뚜렷이 차이나는 것 없이 일년내내 14~ 33도의 선선한 날씨가 계속되는 곳이기도하다.

▶ 홍콩의 음식에는 어떤것이 있나

홍콩은 인구비율로 볼 때 가장많은 음식점을 가지고 있는곳으로 9,900개 이상의 레스토랑이 있다. 고급 레스토랑부터 서민적인 분위기의 저렴한 국수집까지 홍콩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음식만큼이나 다양한 음식점이 있어 음식의 맛을 체험하기에 즐거운 곳이다.
또 해마다 장기간동안 음식축제가 열리고 있어 관광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홍콩의 요리는 중국본토 남부의 광동인들이 이주해와 정착한것으로 중국에서도 가장 화려한 요리인 광동요리를 기본으로 발달했으며 광동요리를 포함한 중국본토 모든 지방의 향토음식을 골고루 만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세계각국의 다양한 요리를 골고루 맛볼 수 있다.

홍콩은 특히 다양한 계절별 특산물을 맛볼 수 있는곳으로 일년내내 홍콩의 특산물이 화련한 음식으로 제공된다.
봄인 3월부터 5월까지는 봄이 제철인 해산물 요리인 전복요리, 바닷가재요리, 생선요리, 조개요리등이 있으며 여름인 6월에서 8월까지는 다양한 종류의 메론과 버섯, 야채요리가, 가을인 9월에서 11월 까지는 게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그리고 겨울인 12월에서 2월까지는 뱀, 녹용, 인삼 등 건강음식이 제공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홍콩의 음식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항상 차와 함께 먹는다고 해서 '얌차'로 통하는 딤섬요리이다.
딤섬요리는 정통 광동요리로 점심식사나 가벼운 먹거리로 각광받고 있는데 종류가 많아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만두모양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싸는 재료도 밀가외에도, 튀김가루, 시금치, 전분등 다양하게 이용되며 이것을 찜이외에도 튀김, 조림 등등 여러가지 요리법으로 조리한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우성과 안성기의 무사란 영화에 인상적인 한 장면이 있다.
뿌연 모래먼지와 타는 듯한 더위로 인상적인 황량한 고비사막이다.
몽고의 드넓은 초원과 마주보고 아주 그럴싸한 모습을 하고 있는 그 곳이 영화촬영지로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몽고는 우리와 생김세도 흡사해서 인지 몽고를 여행하고 온 관광객이라면 중국이나 일본보다는 웬지 더 친근감이 간다고 한다 .
인심이 후해서 마치 우리의 시골인심을 느끼고 왔다는 이야기도 함께 하기도 한다.

몽고의 수도는 울란바토르란 지명으로 우리도 쉽게 들어본 적이 있지만 그것보다 여행의 묘미는 게르라고 불리는 뾰족한 이동식 천막이 있는 초원을 들려봄직하다.

▶ 몽고의 음식

몽고인들의 생활양식은 주로 유목민으로 양과 같은 가축류를 키우는 몽고족이 발달시켜 우리에게도 친숙한 요리로는 우리의 전골과 비슷한 일본에서는 샤브샤브로 불리기도 하는 징기스칸이라는 음식이다.

하지만 이 음식보다는 아무래도 몽고국민의 주 먹거리는 자연 그대로의 음식을 즐긴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전 국민의 70% 정도가 가축을 키우며 유목생활을 하기 때문이다.

말젖과 육류를 이용한 발효음식과 훈제시킨 음식이 말을 타고 이동하는 그네들의 생활에 더 편리했을 것이다.
고기를 피 한방을 흘리지 않고 잡아서 내장류는 빼고 살코기류에 소금만 약간 뿌려서 잘게 찢어서 게르에서 고리를 달아서 불을때는 가마위에 훈제시킨다.
향 좋은 땔감으로 꾸준히 불을 때면 맛도 좋아지고 냄세도 좋아진다.

이와 어울리는 음료로는 옛날 기마 민족으로 유명한 후예답데 말젖을 이용한 아이락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의 막걸리와 비슷한데 약간 비릿한 맛이 있어 비위가 약한 사람은 쉽게 마시지를 못한다. 어려서부터 마시고 자라서 인지 몽고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손님을 후하게 대접하는 것이 그들의 문화라 술도 취할떄 까지 권하니 주량껏 적당히 마시는 것이 좋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