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는 침묵이 아니라 말..그래서 누군가로부터 듣는 이야기는 침묵의 틈에서 은밀하게 새어 나오는 빛과 같다.
마가렛이 들려주는 마법같은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된다. 알려지지 않는 인물들의 전기들을 집필하는 그녀에게 어느날 한통의 편지가 배달된다. 그 편지를 쓴 사람은 영국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 비다 윈터였다. 그녀는 무명의 전기 작가 마가렛에게 지어낸 이야기가 아닌 진실을 말하고 싶다며 만나달라고 부탁한다.
마가렛은 그녀를 만나러 가기전 그녀가 쓴 작품'변형과 절망에 관한 열세 가지 이야기'를 읽다가 문득 마지막 열세번째장이 비어있다는걸 알게 된다. 그녀가 읽고 있는 책은 시중에 나돌지 않고 있는 희귀본으로 출간 즉시 회수된 책이였다. 비다의 자서전은 곧 이 열세번째 장에 채워질것 이라는 추측을 하며 마가렛은 그녀를 만나러 간다. 죽음을 앞둔 대작가 비다는 마가렛에게 지어낸 이야기가 아닌 진실을 말해준다.
그녀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이제는 폐허가 된 엔젤필드 대저택에서 살았던 한 가족의 믿을 수없을 만큼 기괴하고 음산한 이야기를 꺼낸다. 대저택 안의 크게 자리잡은 책으로 둘러싼 방안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그안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비니가 말해주는 사람들은 하나 같이 정상에서 벗어난 비인간적이고, 비이성적인 사람들의 끔찍했던 순간들의 조각들을 교묘하게 편집해서 핵심을 비켜나간다.
-지금까지 내가 써온 모든 글들은 정작 중요한 문제를 쓰지 않기 위한 것이였어.
그녀가 쓰고 싶지 않았던건 무엇이였을까?
자신이 목격하고, 당한 고통이 너무나도 끔찍해서 말하지 않고 쓰지 않는것에 익숙해져 있었다. 본론에서 벗어나서 진실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이야기. 그 의문 투성이의 퍼즐들을 하나씩 꿰어 맞추는 마가렛
-한편의 지어낸 이야기가 더 많은 진실을 담고 있지 않겠어?라는 비니의 냉소에 마가렛은 이렇게 받아친다.
-인간의 삶은 그보다 앞서 살아간 사람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죠. 가족이란 마치 거미줄과 같아서. 어느 한 곳을 만져도 다른 곳에 파장을 일으키지 않을 수가 없어요. 전체를 이해하지 않으면 아무도 이해할 수 없다는 뜻이죠.
한번뿐인 인생, 살아온 그 흔적들을 모조리 다찾아내는건 불가능하다.그래서 어디서부터 선을 긋고 시작할지 결정하는건 결국 자기 자신 슬프고도 기괴한 삶을 살았던 '비다 윈터'의 몫이다.
정상적으로 태어나지 못한 쌍둥이 자매 에멀린과 에덜린 부모에게 버림받다시피 방치된 그들은 심하게 다투고 싸우다가 집에 불을 내고 그 불길 속에 갇힌다. 그불길속에서 구출된 아이, 타버려서 재더미에 남은 아이, 그리고 사생아라는 이유로 유령 처럼 숨어 살아온 아이.
죽음과 함께 사라진 그들의 이름은 살과 뼈와 함께 모두 사라져 버렸다. 하지만 책속에서라도 그들을 살리고 싶은 비나 윈터...잉크가 남긴 흔적으로 텅비워진 열세번째의 장이 채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