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치니 - 토스카나의 새벽을 무대에 올린 오페라의 제왕 클래식 클라우드 5
유윤종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 투스카니(Tuscany) 지방의 루카(Lucca)에서 태어난 푸치니의 이름은 자코모 안토니오 도메니코 미켈레 세콘도 마리아 푸치니(Giacomo Antonio Domenico Michele Secondo Maria Puccini)

푸치니는 몬테베르디, 로시니, 베르디 등으로 대표되는 이탈리아의 오페라 역사에서  독특한 위치에 있는 작곡가다.

생전에 그에게 오페라의 전통을 20세기로 이어가는 작곡가로 주목받았고 서거 이후에는 그았다.뒤를 이을 만한  작곡가가 나타나지 

않았다.300년 전통의 이탈리아 오페라라는 장르를 현대 대중에게 친숙한 작품으로선보였고 그것이 현대 영화음악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하지만 그는 생애 끝자락을 화려하게 마무리할 장엄한 오페라를 완성하지 못했다고 스스로를 탓할정도로  완벽을 추구하는 작곡가였다. 

극과 음악을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기 위해 오페라 대본작가들을 비롯해 평생 그의 지지자이자 지원자, 동료이기도 했던 출판업자 리코르디(그의 회사는 지금도 세계적인 악보 출판사로 남아 있다) 등 주변 사람들을  집요하게 괴롭히는 사람이였다.

 〈라 보엠〉, 〈토스카〉, 〈나비부인〉, 〈투란도트〉 같은, 지금도 전 세계 오페라극장에서 활발히 공연을 이어가고 있는 대작들은 완벽을 향한 그의 집요한 노력이 없었다면 탄생하지 못했을것이다.

푸치니는 오페라가 수많은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으려면  “듣는 이를 사로잡을 수 있는 단순한 스토리의 슬픈 이야기, 사랑 이야기”에 집중했다.때로는 자신의 경험을 오페라의 음악속에 녹여냈는 부인  엘비라와 결혼생활을 지속하는 중에도 끊임없이 다른 여자들을 만났던 경험,사랑에 빠졌을 때의 느낌과 분위기를 귀신같이 잡아내며 감정의 클라이막스를  음악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낼 줄 알았다. 특히 주인공앞에 불어 닥친 파멸과 비극을 음악으로 암시하는 데도 발군의 솜씨를 보였다. 

기존의 오페라에서 극과 음악, 레치타티보, 연출 등의 요소를 관객들이 따라잡기 힘들었는데  푸치니의 오페라에서는 이 모든 요소가 자연스럽게 스며

들면서 이 모든 삶의 여정의 종착점이라 할 수 있는 위대한 선율의 아리아는 푸치니라라는 작곡가가 오페라라는 장르에 독보적이 존재로 빛이 날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생전에 누린 유명세에 비해 좀처럼 평론가들의 호평은 얻지 못한 작곡가였다.

비평가들은 푸치니가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에 집중해서 스토리가 너무 자극적이라고 혹평했지만 관갹들은 푸치니의 오페라를 사랑했고 21세기에도

〈라 보엠〉, 〈토스카〉, 〈나비부인〉은 전 세계 오페라하우스를  독점하고 있다. 

이렇게 위대한 오페라를 창작한 푸치니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이탈리아의 한적한 시골 마을에 빌라를 지어놓고

 사냥을 하며 낮시간을 보낸후 새로운 발명품인 자동차와 모터보트를 구입해 직접 몰며 스피드를 즐기면서 이미 남편이 있었던 여자를 파경에 이르게 한 여자와 결혼을 했지만 그녀에게서 기대할 수 없었던 예술적 교양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다른 여인들을 통해 채우며 사랑에 울고 웃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