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잘도 내린다. 아이들 시험기간이라 놀러가기 어려우니 차라리 비가 시원스럽게 내리는것도 나쁘진 않다. 피해만 없으면 좋겠다.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 약간이 세워져 있기에 어떤 프로그램으로 할까 고민하다 작년 교육청에서 추진했던 작가와의 만남을 살짝 도용하기로 했다. 내가 추진했던 업무이니 저작권료는 안줘도 되리라 생각하고.....
작가를 모시기에 턱없이 부족한 예산이지만 그동안의 친분과 불확실하지만 내년의 현실화할 예산을 약속하며 어렵게 지역작가 네명을 섭외했다. 교환일기의 오미경 작가, 모캄과 메오의 김송순 작가, 책벌레 공부벌레 일벌레의 이묘신 작가, 내가 훔치고 싶은것의 이종선 작가. 특히 나는 교환일기를 재미있게 읽고 샘이 막연히 서울에 살겠지 했는데 청주가 고향인 지역작가임을 알고 참으로 감격스러워했다. 이렇게 유명한 분이 청주에~~~~~ (물론 다른 분들도^*^)
우선 가까운 청주, 청원지역을 중심으로 초등 20교를 지원하기로 했는데 반응이 좋아 26교를 지원하기로 했고, 참여학생이 2천명이 넘는다. 올해는 왠지 마이더스의 손이 된 느낌. 하는 행사마다 대박이다^*^
처음엔 마지못해 수락했던 강사분들이 각 학교 학생, 교사의 뜨거운 반응에 힘을 얻어 더 열심히 지도하고, 감사하다는 인사를 할땐 담당자로서 보람을 느낀다. 미리 학교 담당선생님들에게 부탁해서 가능하면 아이들이 책을 읽도록 하고, 질문지도 만들고, 편지도 쓰게 했다. 도서관에도 책을 여러권 구입해놓고 학교에 대출해주니, 학교를 방문했을때 아이들의 다양한 질문과 관심에 열기가 뜨겁더라.
강의가 끝나고 학생들에게 꿈을 물어보니 작가가 되고 싶은 아이가 여럿 생겼다며 좋아라 하는 강사님들 뵈니 흐뭇. 간담회 자리에서 내년엔 충북지역 전체로 확대하고 강사료, 교통비, 원고료까지 세우라는 관장님 말씀에 '콜'을 외치는 오버도 했다.
학교에서는 작가초청 강연회를 위한 별도의 예산 세우기, 작가 섭외가 어려우니 이렇게 공공도서관에서 지원해주면 좋을듯. 의외로 지역에도 동화나 동시작가분들이 많더라. 강사들께는 죄송하지만 부탁만 잘하면 저렴한 강사료도 가능하다. 참 작가들의 책 판매 부수가 많이 올랐다는 기분 좋은 소식도 들렸다.
이제 어떤 독서 프로그램을 만들어볼까?











여우꼬리
우리도서관 입구에 피어있는 노랑, 하양 백합에서는 유혹의 향기가 가득 퍼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