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하로부터의 수기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121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계동준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5월
평점 :
도스토예프스키를 읽다보면 뒷통수를 맞은 느낌이다. 이렇게 오래전에도 이런 주제를 다루었구나. 어쩌면 오늘날의 모든 주제들은 고전의 변주들이 아닐까하는 깨달음(?)이 오는 것 같기도 하다.
소설에는 관념 속에 사는 사람이 나온다. 스스로를 지하에 산다고 칭하며 책으로 배운 세상이 그가 살아가는 세상이다. 유리창 밖 세상에서는 적응할 수 없다. 타인과의 관계를 두려워하며 지하에서의 생활을 안전하다고 느낀다. 지적 허영이 가득한 이 사람의 모습에서 내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 같기도 해 서글픈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내가 책을 읽는 이유 또한 안전하고 싶고 밖에서는 상처받기 싫은 것도 있었기 때문이었을까.. 그런데 주인공이 마지막에 말하듯 도대체 무엇이 실제하는 삶인지 누가 선뜻 정의내릴 수 있을까,도 싶다. 책이 없다면, 관념이란 것이 없다면, 실제라는 것 또한 정의내리기 쉽지 않을 것이다. 하나의 위로는 책읽기라는 행위자체가 나에겐 온전한 그 자체로의 기쁨이므로, 이 행위 자체가 실제이지 않을까라는 변명..
유리창안에서 보는 바깥은 평화롭다. 그러나 때로는 문을 열고 나아가 신선한 바람도 쐬고 비바람도 맞고 해야 한다는 것. 세상이 우리가 그렇게 하기를 원하고 나 자신에게도 필요하다는 것. 잊지 말아야겠다.
나는 단지 내 인생에서 당신이 감히 절반도 실행할 엄두도 못 낸 것을 극단까지 밀고 나갔다. 그리고 덧붙여 말하자면, 당신은 당신의 비겁함을 상식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당신 자신을 속이면서, 그것에 위안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당신에 비하면, 내가 당신보다 더욱더 <살아 있다>는 결론이 된다. 자세히 봐라! 결국 오늘날 우리는 정확히 이 <살아 있는>삶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고 있고, 그것이 어떤 것인지도 모르며 그것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도 모른다. 우리를 혼자 내버려둬 봐라, 책 없이. 그러면 우리는 곧 혼란에 빠질 것이고 길을 잃을 것이다. 우리는 어디로 합류해야 할지도, 무엇을 붙잡아야 하는지도, 무엇을 사랑하고 무엇을 증오해야 하는지도, 무엇을 존경해야 하고 무엇을 경멸해야 하는지도 모른다. p.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