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4월
평점 :
하루키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젊다는 것이다. 어느덧 그의 나이가 60대 중반을 지나가고 있지만 글의 어느 구석에서도 늙은이의 자세를 찾아볼 수가 없다. 그래서 언제나 그의 글은 하루키의 글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오롯이 서 있는 것 같다. 이 책은 그런 하루키에게 직업이라는 글쓰기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글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서 상세히 나와있다. 글을 쓰려는 사람에게는 물론, 그냥 하루키라면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여러모로 생각할 거리를 준다.
어떤 일을 몇십년 동안 꾸준히 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하루키는 소설을 꾸준히 쓰기 위해 달리기도 꾸준히 해왔는데, 사람들이 너무 열심히 뛰는 것이 아니냐는 말에.. 매일 같이 복닥거리는 지하철로 출근하는 사람에 비하며 뛰고 싶을 때 한 시간쯤 뛰는 것이 뭐가 힘드냐고 대답한다. 이렇게 직업으로서의 일조차도 힘들이고 하지 않는 것 같아(실제로 그가 얼마나 힘든지는 알 수 없는 일이므로) 좋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 그가 어느 누구보다도 성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실하되 여유가 있는 사람이랄까.
소설가라는 직업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겠지만 이렇게 자유롭게 살 수 있는 하루키가 부럽다. 나도 나의 일을 안달복달하지 않으며, 너무 애쓰지 않으며 설렁설렁 하고 싶은데 자꾸 마음을 쓰게 된다. 그렇게 마음을 쓰는 동안, 육체의 노화와 함께 마음도 늙어가는 것 같다. 만사가 재미없는 요즘, 하루키의 글에서 조금 자극을 받는다.
하루키와의 공통점을 찾으려고 노력해본다. '청춘의 나날을 즐길'여유 같은 건 거의 없었던 때에도 틈만나면 책을 읽었다는 것! (물론 나는 청춘의 나날에 엄청나게 여유로웠다...)
아무리 바빠도, 아무리 먹고사는 게 힘들어도, 책을 읽는 일은 음악을 듣는 것과 함께 나에게는 언제나 변함없는 큰 기쁨이었습니다. 그 기쁨만은 어느 누구에게도 빼앗기지 않았습니다. p.43
저도 그렇습니다. 하루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