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독의 위로
앤터니 스토 지음, 이순영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1년 10월
평점 :
이 책의 서문 제목은 '고요한 삶은 외롭지 않다'이다.
뭔가 제대로된 인간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자의식은 스스로를 괴롭히고 고민하게 만든다. 물리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홀로 있는 사람들은 비정상적으로 인식되기까지 한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에 나는 조용한 안도의 마음을 가진다. 그렇지,, 잊고 있었던 것.
저마다의 기준은 다른 법이라는 것이다. 타인과의 사랑, 친밀한 관계보다 무언가 알고 싶은 지적욕구, 혼자 책을 읽는 것 등을 사랑해왔던 나였으니 말이다. 물론 외로움을 느끼기는 하지만 언제나 나를 편안하게 하고 진정한 기쁨을 주었던 것은 돌이켜보면 무엇을 깨달았을 때나 스스로의 강박적인 행동들이 주는 내 삶의 질서였다.
이 책은 고독함 속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는 천재들의 삶을 통해 고독한 시간이 인간에게 얼마나 큰 힘으로 창작물을 낼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들의 삶이 세상사람들의 눈에는 너무나 내향적인 인간이거나, 강박이나 편집증에 휘둘리고 있거나, 심하면 정신분열로 인식된다 할지라도 누군가의 삶이 성공적인가, 혹은 그 사람은 행복했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칸트, 비트겐슈타인, 뉴턴의 일화가 재밌다. 칸트의 일화야 널리 알려진 것이지만 건강염려증이 심했다는 데서 조용한 폭소를 해본다.
사람마다 충족감을 주는 타인과의 친밀감의 정도는 다르다. 직장에서의 피상적 관계만으로도 자아감을 형성하는데 하등의 문제가 없는 사람이 있는 반면, 누군가는 부담스러워하는 애착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다. 한마디로 적정 수위가 달라 사람들은 서로들 스트레스를 받는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참 재밌는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나약한 것이 인간이다.
살 수록 더욱더 느낀다. 요즘말로 정신줄을 부여잡고 있지 않으면 살기 힘든 세상이다.
하지만 너무 긴장하거나 자책은 말자. 여유를 가지고 나란 인간이 마음가는 대로 살아버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