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는 오직 자신의 재능으로 세계를 밝힌 사람들이 나온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요하네스 케플러, 마리아 미첼, 엘리자베스 브라우닝, 마거릿 풀러, 에밀리 디킨슨, 레이철 카슨 등이다. 마리아 미첼이나 마거릿 풀러는 전혀 들어본적 없는데도 아주 흥미롭게 읽었다. 신기한 것은 동시대에 살았던 사람들도 있지만 세기를 훨씬 뛰어넘는데도 마치 서로 이어져 영향을 주고 받는 것 같다.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다니며 만나봐야했던 마거릿 풀러 같은 인물도 있고 무슨 이유인지 공포를 느껴 죽을 때까지 작은 방안에서 나오지 않은 에밀리 디킨슨 같은 인물도 있다.
거의 모든 인물의 내면에는 타인에 대한 사랑이 넘쳤다. 오묘한 삼각관계 또는 그 이상을 이루기도 하고 좀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관계에서 힘을 얻고 재능을 발휘하는데 원천으로 삼은 경우도 있었다. 독립된 자아라는 환상.. 우리 모두는 어떻게든 이어져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살다가, 결국은 우주의 먼지로 사라지게 된다. 인간의 근심이여, 모든 것이 헛되도다라고 말했던 케플러의 말처럼.
<오만과 편견>을 아마도 두어번쯤은 읽었던 것 같은데.. 김영하북클럽 도서로 선정되어 다시 읽었더니 또 새롭다;; 혼자 읽을 때 보다 좋은 것은 이 책에 던져지는 질문과 다른 사람들의 답이다.
사랑, 연애, 결혼이라는 진부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지금까지 고전으로 남아있게 된 소설의 매력은 무엇인가. 우리가 사랑하게 되는 인물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에 혼자 답을 해보며 이전 독서와는 다른 점을 느꼈는데 이래서 사람들이 독서모임을 하나보다라는 생각을 했다. 이렇게 몰입도가 높은 고전도 흔치 않을 것 같다.
어느 시기에 읽던 책들에..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에 대한 언급이 너무 자주 눈에 띄어 궁금해서 집어들게 된 책. 괴테는 1786년 9월 부터 1788년 4월까지 이십 개월에 걸쳐 이탈리아 여행을 떠났는데 주목적이 고전 탐사였던 만큼 로마에서 일 년 넘게 체류한다.
그는 어떤 곳에 가면 암석, 지형, 기후, 식생, 나아가 사람들의 성향까지 면밀히 파악하며 직접 보고 듣고 마치 현장탐사에 나서듯 여행을 했다. 당연히 여행은 오늘날의 편한 여행이 아니다. 생명의 위협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탈리아를 방문하면서 진정한 모습으로 다시 태어났다고 까지 말하니 도대체 이탈리아는 어떤 나라인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직접 대상을 확실하게 보는 것은 책으로 여러번 반복하는 것과 하늘과 땅 차이인 것이다.
거의 매일 상당한 분량을 글쓰기로 그날 보고 생각했던 것을 썼는데이게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패드나 스마트폰도 카메라도 없었던 시대에 손글씨로 기억에 의존에 쓰는 여행기라니... 그의 세상을 보는 시선이 어떤지와는 상관없이 그 성실함만은 최고인 것 같다.
5권은 쇼팽과 리스트를 다루고 있다. 오히려 이 책에서는 쇼팽보다는 잘 모르고 있었던 리스트의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리스트는 피아니스트가 갖춰야 할 최고의 기교과 능력의 경지를 보여준 비르투오소라고 칭해지는데 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 신체적인 요소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이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리스트는 손의 크기가 도에서 다음 옥타브의 솔까지 닿을 정도로 컸다고 한다.)
쇼팽의 연인인 조르주 상드의 사적인 면모에 놀랐다. 둘째딸인 솔랑주를 증오할 정도로 차별했다니 평등 사회를 부르짖었던 그녀의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하지만 쇼팽을 아이 다루듯 보호해주었던 인물이다. 말년에 리스트는 수도원에서 지내면서 누구보다 겸손한 자세로 많은 제자를 가르쳤다. 음악을 위해 자신의 삶을 바친 리스트는 위대한 거장이자 따뜻한 선생님이었다고 한다. 확실히 이전 책들에 비해 아는 음악은 별로 없었지만 실제로 들으며 읽으니 미지의 것을 알게 되는 보람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