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헤세, 헤세가 사랑한 책들
헤르만 헤세 지음, 안인희 엮음.옮김 / 김영사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헤르만 헤세는 '데미안'이라는 작품으로 잘 알려져있는 작가이다. 그런데 그가 많은 책들의 서평을 썼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잘 알려져있지 않다. 이 책은 헤세가 그동안 썼던 서평들과 작가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 담겨있는 책이다. 그가 쓴 서평 중에서 내가 이미 읽은 책도 있고, 처음 들어보는 책들도 있다. 헤르만 헤세는 살아있을 때 워낙 유명했던 다독가이며, 애서가였다고 하니 이 책만 봐도 그의 독서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 짐작이 간다.

 

솔직히 말하면 내가 이미 읽어본 책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공감이 갔지만, 아직 읽어보지 못한 책에 대한 글은 약간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서평이라는 것이 책을 다 읽은 사람이 그 책에 대한 줄거리를 말하지 않고 그 사람이 생각하는 바를 쓴 글이다보니 이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는 어떻게 이해를 해야할지 난감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점은 헤르만 헤세가 지적이고 교양이 많은 사람으로서 깊이있는 서평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나의 지적교양 깊이가 너무 얕아서 그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 뿐이다. 사실 이런 난감함은 그가 쓴 '데미안'을 읽을 때도 그랬었다. 치열한 성장 소설임에는 틀림없으나 어딘지 모르게 어렵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책 내용에 관한 것이라면 일단 읽어보면 알테니 넘어가도록 하고, 그가 정말 좋아했던 책들을 따라서 읽어보는 것도 상당히 괜찮은 일이다. 이 책의 목차를 보면 그가 서평을 쓴 책들의 제목이 나온다. 그 책들을 직접 찾아서 읽어보고 내가 생각했던 것과 헤세의 생각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는 건 무척 재미있을 듯 하다. 시간이 좀 걸리는 일이겠지만 어차피 책을 읽는 일은 시간을 소모해야하는 일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과연 나는 얼마나 깊이있는 서평을 쓰고 있는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예전에 원고지에 연필로 독후감을 쓰던 시절에는 일단 글을 한 번 쓰고 퇴고라는 과정을 거쳐서 원고지에 글을 옮겼으나, 블로그라는 매체가 발달하면서 머릿속에 있는 생각을 곧장 정리하면서 글을 쓰는 것이 익숙해졌다. 어쩌면 글을 쓰는 일은 조금 편해졌지만, 그만큼 생각의 깊이가 얕아진 것이 아닐까라는 두려움이 살짝 들기도 했다. 이 책은 일반 소설처럼 슥슥 넘기면서 읽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시간을 두고 읽으면 좀 더 그 진가를 알게되는 책이다. 표지도 무척 예뻐서 선물하기에도 좋다. 대가의 서평이란 어떤 것인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