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시 삼백수 : 7언절구 편 우리 한시 삼백수
정민 엮음 / 김영사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한시'라고 하면 딱딱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일단 한자 세대가 아니기 때문에 한문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시라는 장르에도 익숙하지 않은 덕분에 평소에는 한시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다. 그래서 한시를 모아놓은 책이라고 하면 일단 재미없을 것이라고 제쳐놓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 책만큼은 조금 특별하다. 시라고는 교과서에 나왔던 정도밖에 잘 모르던 내가 이렇게 흥미롭게 시를 읽어본 것도 거의 처음이 아닐까 싶다. 꼭 한시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시도 이런 방법으로 구성해놓으면 좀 더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기본적으로 이 책은 역자가 좋은 시들을 엄선해서 시대순으로 엮어놓았다. 다소 개인적인 판단이기는 하나, 문학에 조예가 깊은 역자의 선택이니 한번 믿고 읽어보는 것도 괜찮다. 하루이틀에 걸쳐 삼백수를 다 읽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책은 자주 손이 닿는 곳에 두고 생각 날 때마다 들춰보는 재미가 더 쏠쏠한 책이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자꾸 먹으면 질리듯이, 아무리 좋은 시라도 계속 읽다보면 피곤하기 마련이다. 매일 조금씩 좋은 시를 음미하다보면 어느새 책 한 권이 끝나있다. 평역한 시라고 해서 그냥 해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운율에 맞추어 번역을 해놓았기 때문에 새롭게 쓰여진 시를 읽는 재미도 괜찮다.

 

시를 읽으면서 무릎을 탁 칠 정도로 기발한 발상이 넘치는 작품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아무래도 한정된 글자 내에서 표현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런 것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상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이것도 그려내기 상당히 어렵다. 밤하들에 뜬 반달을 보고 화장거울을 연상한 '반달'이라는 시나, 밤새 내린 눈을 보고 소복을 입었다고 표현한 것도 흥미롭다. 옛 시들이 대부분 자연을 노래한 것들이 많아서 한시를 읽고 있자면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옛 선인들의 시선이 현대로 전해져 내려오면서 새로운 시각을 만들어낸다.

 

요즘에는 현대인에게 맞는 특이한 시들도 굉장히 많다. 그러나 옛 정취를 느끼기에는 한시만한 것도 없는 듯 하다. 오랜만에 한시를 읊으며 풍류를 즐기는 선비의 마음이 되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