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닮은 집, 삶을 담은 집 - 현실을 담고 ‘사는 맛’을 돋워주는 19개의 집 건축 이야기
김미리.박세미.채민기 지음 / 더숲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이제는 아파트를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난 것 같다. 수도권 인근에 단독주택지들이 늘어나면서 일단 땅을 구입해놓고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집을 가지고 싶은 사람들이 늘어나는데, 실제로 그 생각을 실천에 옮기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땅이 있다고 해도 어떤 건축가에게 맡겨야 내 입맛에 맞는 집을 설계할 수 있을지, 또 건설업자도 잘 만나야 하고, 집을 하나 짓고 나면 아마 같은 집을 두 번 짓고 싶다는 생각은 별로 안 들 것 같다. 너무나도 신경을 써야할 일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만의 집을 갖는 것은 인생을 살면서 가질 수 있는 하나의 로망이 아닐까 싶다. 그리 크지는 않더라도 내 몸 하나 누일 곳이 멋있다면 그냥 사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지 않을까.

 

다른 사람들과 같은 집을 짓기는 싫고, 조금 독특한 집을 짓고 싶은데 전혀 감이 잡히지 않는다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 나왔다. 바로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삶을 닮은 집, 삶을 담은 집'인데, 전국에 있는 단독 주택 중에 좀 특이한 집들을 모아서 소개해놓은 책이다. 집 자체의 특이함도 중요하지만, 그 집 안에 담긴 가족들의 이야기들을 먼저 다루고 있어서 정말 살아있는 집이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각 단락마다 소개하고 있는 집의 전체적인 외관은 사진을 통해서 볼 수 있지만, 굉장히 세부적인 도면이나 상세 사진은 별로 실려있지 않다. 다만 이 집을 지을 때 있었던 이야기라든지, 전체적인 집의 설계 방향들에 대해서 주로 이야기하고 있어서 처음에 컨셉을 잡을 때 실제로 만든 집은 어떤 형태로 나왔는지 비교해 볼만한 자료가 된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 싶거나, 내가 꿈꾸는 집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집이 있다면 이 책의 가장 뒤에 실려있는 건축가 연락처가 있으니, 그 곳을 통해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책에 실려있는 수많은 집들 중에서 인상 깊게 본 집 중의 하나가 '파시브 하우스'이다. 솔직히 보통 집을 짓는 것보다는 약간 비용이 더 들어간다. 그러나 그만큼 관리비가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아파트에서만 살던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고려해 볼만한 집이다. 보통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아파트에 비해 적지않게 들어가는 관리비가 걱정되어서 실행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겨울이 춥고 길어서 제대로 된 단열이 되지 않으면 한겨울을 나기 힘든 경우도 종종 있다. 또 재미있게 봤던 집 중의 하나는 바로 승효상 님의 단독주택인데, 음악가의 집이라고 하지만 각 방을 채의 개념으로 봐서 분리를 해놓은 점이 독특했다. 솔직히 각 공간을 분리해놓아서 이동하기에는 불편하지만, 매일 사용하는 집이 아니고 가끔씩 와서 쓰는 집이라고 하니, 이 경우에는 이렇게 따로 나누어 놓는 것이 좀 더 합리적인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든 집들이 개성있는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는 까닭은 그 집을 사용하는 사람의 성향에 맞추었기 때문이다. 그저 나에게 쓰기 좋은 집이라면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집이 아닐까 싶다.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앞서서 집을 사용하는 사람의 만족도가 그 집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된다. 이 책은 좀 더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나에게 맞는 집을 찾는 과정이라고 보면 좋을 듯 싶다. 오랫동안 건축계에서 일했던 전문가들도 가장 까다로운 건축물을 단독주택이라고 할 정도로 작으면서도 고민할 거리가 많은 건물이 바로 '집'이기도 하다. 그래서 좀 더 좋은 집을 짓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지었는지 보는 것도 중요하다. 나만의 집을 갖길 원하는 사람들이나, 좋은 집을 디자인하고 싶은 사람들 등 주택에 관심 많은 사람들이 보면 좋을 자료들이 듬뿍 담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