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보다 호감부터 사라 - 평범한 사람도 최고의 인재로 거듭나게 하는 조직지능의 힘
신현만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지금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제대로 인정받고 크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나 같은 경우에도 매번 일에 치여 살기는 하지만, 내가 아니면 할 사람이 없다는 생각으로 필사적으로 일을 하고 있는 중이다. 뭐, 이런 자신감은 터무니 없을지라도 일을 해나가는 원동력은 충분히 된다. 그런데 자신의 능력만 믿기에는 나의 능력이 한없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주변 사람들과 친화력이 없다면 조직 사회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경우를 몇 번 보았다. 지금 회사의 가장 윗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 다양한 유형들이 있는데, 카리스마가 있는 경우도 있고,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아랫 사람들로부터는 존경을 받는 사람이 결국은 가장 좋은 자리에 있는 것 같다. 나도 언젠가는 저런 자리에 앉고 싶은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무척이나 궁금했다. 일단은 내가 있는 위치에서 제대로 인정을 받아야 할텐데, 이 책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헤드헌터 회사를 운영했던 사람이 쓴 책으로 조직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쓴 책이다. 정말 실전 경험에서 우러나온 사례들과 지식들이 많아서 직장에서 치열하게 근무하고 있는 나로서는 정말 재미있게 보았다. 딱딱해보이는 표지와는 달리, 책 내용은 무척이나 재미있다. 그리고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들이 결코 헛되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일단 일이 많아서 야근을 밥먹듯이 하는 사람이 무능하다고 다른 책에서 말을 하지만, 저자가 보는 관점은 다르다. 일복이 많은 사람은 그만큼 열심히 하기 때문에 근무 시간내에 일을 다 하지 못할 만큼 일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딱 정해진 근무시간 내에서만 일하고 퇴근해도 여유가 있는 사람은 회사에서 그 사람은 별로 필요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은 회사는 이익을 내고 어떤 결과를 창출해내기 위해 직원을 고용하고 돈을 주는 것인데, 일은 조금하고 돈만 받아가는 직원을 누가 좋아하겠는가. 사실 나도 야근을 꽤나 많이 하는 편이라 정말 우울했었는데, 이 글을 보고 나니 야근을 하면서도 그리 슬프지는 않아졌다.

 

또한 적당히 하는 적당주의는 언젠가 그 사람을 파멸시킨다고 한다. 모든 일을 꼼꼼하게 챙기는 완벽주의야말로 성공하는 직원이 되는 지름길이라고 한다.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그렇다고 해서 결정적인 순간에 결정을 늦게 하라는 말이 아니라, 미리미리 준비해서 시간내에 업무를 완성할 수 있도록 제대로 하라는 말이다. 세계적인 리더 중의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혀를 내두르게 할 정도로 꼼꼼하게 일을 챙긴다고 한다. 그런 완벽주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한 다른 사람보다 자신에게 윤리에 대한 엄격한 지침을 실천하도록 해야한다. 높은 자리에 올라가게 되면 그 사람의 도덕성도 따지게 된다. 앞으로 CEO의 자리에 올라갈 것을 목표로 하는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부도덕적인 행위는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 목표도 없는 사람은 그냥 적당히 대충 넘어가게 되므로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

 

이 외에도 조직생활을 하면서 어떤 점이 중요한지에 대해서 깨알같이 좋은 말들이 가득 담겨있다. 자기 잘난 맛에 사는 사람은 그냥 거기서 멈춰서있을 뿐이다. 나도 지금 나 자신을 끊임없이 단련하고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좋은 마음가짐이 좋은 결과를 낳는다. 조직에서 최고의 인재로 인정받고 싶은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