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피시 - 네 종류 물고기를 통해 파헤친 인간의 이기적 욕망과 환경의 미래
폴 그린버그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나는 생선을 무척이나 즐겨 먹는다. 육류를 좋아하지 않는 대신에, 단백질을 섭취할 때면 생선을 먹곤 한다. 나 뿐만이 아니라 요즘 건강한 식단을 찾는 사람들은 육류보다는 해산물이 더 건강에 좋다는 인식을 가지고 일부러 생선을 먹기도 한다. 시장에 가면 널려있는 것이 생선이기에 나는 생선은 무한한 존재인 줄 알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나서 흔하게 보아왔던 생선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달라졌음을 인정한다. 일단 이 책의 표지에 그려져 있는 네 마리의 생선은 서구 사회에서 가장 즐겨먹는 생선을 선정해서 다루고 있다. 물론 이 생선들을 선정한 기준은 극히 개인적이다. 하지만 개인의 관점에서 쓴 책인만큼, 그 정도의 주관은 가져도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참치, 대구, 연어, 농어는 사람들에게 굉장히 친숙한 생선들이다. 물론 서양 사람이 쓴 책이라서 아무래도 우리나라에서 주로 먹는 생선을 다루지는 않지만 유명한 몸들이시니 한 번쯤은 들어본 이름들이다. 일단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놀랐던 점은 모든 생선들이 양식이 아니라 자연산으로도 많이 잡히고 있다는 점이고, 사람들의 무분별한 남획 덕분에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것도 놀라웠다. 사실 바다 속에 있으면 물고기들이 얼마나 살고 있는지 알기가 어려운데, 많은 사람들의 연구를 통해 그와 같이 물고기들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생선을 잡고 먹는 것을 조정해야한다는 말도 된다. 육지에 사는 동물들은 보호하려고 나서는 사람들이 많은데, 바다속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그와 같은 관심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있다. 하지만 이 책 덕분에 생선을 보는 시각이 많이 달라졌다.

 

특히 놀라웠던 어종은 참치이다. TV에서 일본 츠키지 시장에서 거래되는 거대한 참치들을 볼 때마다 정말 맛있겠다는 생각만 했을 뿐, 참치가 어류 중에서 최종 소비자라든지 한 마리의 참치를 키우기 위해서 수십 킬로그램의 먹이가 들어간다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었다. 아무래도 나는 동양권에 있다보니 이 책에 등장하는 다른 어종보다 참치가 친숙하다. 그렇게 맛있는 참치가 수량이 줄어들고 있다니, 안타까운 일이다. 특히나 참치에 대한 수요가 많은 일본에서는 이러한 점을 무시하고 계속해서 참치 잡이를 하고 있다니 조금 아이러니한 일이기도 하다. 참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현재 고래와 같이 아예 잡는 것을 금지하는 방안이 나온적도 있다고 하지만, 워낙 거센 반발에 부딪힐 것 같다.

 

앞으로 생선을 먹을 때 이 생선이 어떻게 나의 식탁에까지 오르게 되었는가에 대해서 좀 더 생각을 해보게 될 것 같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해산물에 대해서는 멸종이라든지 양식업에 대해서 크게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저자가 세계 각국을 다니면서 직접 조사한 과정을 보니 좀 더 관심을 가져야할 문제로 보인다. 지금 주력으로 먹고있는 생선 말고도 대체할 생선을 찾는다면 얼마든지 있다고 하니 조금 색다른 생선을 접해보는 것도 그리 나쁘지 않겠다. 무분별한 남획보다 정말 먹을만큼만 잡아서 먹을 수 있도록 우리 소비자의 인식부터 바꾸어 본다면 생선과 함께 이 지구에서 인간이 오래도록 공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