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인 당신의 강점에 주목하라 - 내성적인 당신에게 잘 맞는 자기 PR 시크릿
낸시 앤코위츠 지음, 신현정 옮김 / 갈매나무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요즘 워낙 외향적인 사람들이 많다보니, 내성적인 사람은 그냥 무리 속에 묻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자기 PR 시대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냥 가만히 있으면 누군가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 그저 열심히 일하는 사람보다는 자신의 일도 잘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는 사람이 성공하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내성적인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나의 능력을 홍보하는 것도 그리 쉽지는 않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이 책은 어떻게하면 자연스럽게 자신을 PR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나 같은 경우는 어린 시절에는 굉장히 내성적인 성격이었으나, 자의든 타의든 환경에 의해서 외향적인 성격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그 덕분에 지금은 어느정도 사회생활을 무난하게 하고 있으나 따지고 보면 원래 내성적인 성격이라 가끔은 의기소침해지는 경우가 있다. 가장 중요한 순간에 소심해진다고나 할까. 그나마 조금 위안이 되는 것은 나같이 소심한 사람들이 은근히 세상에는 많다는 사실이다. 이 말을 반대로 내가 조금만 노력하면 나의 강점을 살려서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말이 되기도 하겠다.

 

이 책 첫머리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내용은 '자신감'이다. 자신이 내성적인 사람이든 아니든 이것은 생각의 문제이다. 내가 충분히 어떤 것이든 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만 있다면 일단 일의 절반은 해낸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저자는 독자들의 자신감 회복을 위해서 무려 1 CHAPTER나 소비해가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일단 소심하기는 해도 자신감은 꽤나 가지고 있어서 이 단계는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었다. 뭐, 특별한 능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내가 맡은 일을 성실하게 해내거나 주변 사람들을 잘 챙겨준다면 그것만으로도 나의 장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이 단계를 넘어가고 나면 이제는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자기 PR 법은 미국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마케팅 관련 담당자나 영업 사원에게 가장 필요한 방법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다른 직장을 찾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네크워크 이기 때문에 평소에 주변 사람들로부터 신뢰를 잘 쌓아두었다면 이직을 하는데에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처음 말을 꺼내기 어려울 때는 아예 대본을 쓰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하는데 외운티가 나지 않게 열심히 연습하는 것이 필요할테다. 그 외에도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하는 방법, 면접에서 성공적으로 끝내는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대부분 저자가 경험하거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들은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실천방법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스스로 얻은 가장 큰 소득은 내성적이라고 해서 무조건 비관적으로 생각할 일은 아니라는 점이다. 내성적인 사람은 그 나름대로 심사숙고하게 일을 처리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도 아니라면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도 장점이다. 중요한 것은 내가 다른 사람과 반드시 똑같이 행동할 필요는 없고, 내 방식대로 능력을 발휘하면서 잘 살아간다면 그것만으로 충분히 성공한 인생을 살고 있다고 봐도 좋겠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유명인사 중에서도 내성적인 사람이 많다는 사실은 다시금 강조하지 않아도 내성적인 성격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책을 통해서 나를 포함한 많은 내성적인 성향의 사람들이 자신있게 사회생활을 해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