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여자 전혜린 - 그리고 다시 찾아온 광기와 열정의 이름, 개정판
정도상 지음 / 두리미디어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처음에 이 책 제목을 봤을 때, 참 예쁜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이름이었으나 한국 문학과 그닥 친하지 않았던 나에게 '전혜린'이라는 이름은 여전히 낯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에서 쏟아지는 그녀의 글에 대한 찬사는 이 책에 대한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그리 잘 알지 못하면 어때? 일단 이 책을 통해서 '전혜린'이라는 사람과 친해지기로 마음먹었다. 분명히 표지에 '장편소설'이라고 쓰여있으나 이 책은 읽으면 읽을 수록 자서전 같다는 느낌이 많이 든다. 아마도 주인공에 대해서 철저하게 조사하고 분석한 작가의 노력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덕분에 현실과도 같은 생생한 소설을 읽게 되어서 무척 기쁘다.
책을 다 읽고 나서 갑자기 주인공의 실제 객관적인 사실은 어떤 것인지 궁금해서 네이버를 잠깐 검색해보았다. 그런데 마땅히 자세한 정보는 나오지 않는다. 이미 소설을 통해서 알고 있는 사실이 대부분이었고, 너무나도 짧은 삶을 살다가 갔기 때문에 그닥 많은 자료가 남아있지 않은 듯하다. 그나마 제대로 된 그녀를 알려고 한다면 그녀의 유작밖에는 없을 듯 하다. 이 때문에 더더욱 전혜린을 알고자 하는 사람들로서는 '그 여자 전혜린'이라는 소설이 흥미를 끌 수 밖에 없겠다.
소설을 읽으면서 내 눈에 비친 전혜린의 모습은 현실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부단히 노력하였으나, 결국은 사회의 굴레라는 한계에 부딪히고 거기에 실망하고 절망하고 맞추어 살게된 한 시대의 지식인이었다. 그 시절만해도 여자가 똑똑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자 하는 사회 분위기가 아니었으니 마음대로 활동하기도 어렵고, 그나마 외국 대학물을 먹었기 때문에 교수직도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이 책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전혜린이 가상으로 썼던 소설을 통해 표출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다. 사실 소설도 작가의 경험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모든 것을 허구로 쓰기란 불가능하다. 설사 그렇다고 한다면 그것은 소설보다는 동화나 판타지에 가까운 모습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끊임없이 사회에 저항하고자 하나 결국은 현실이라는 벽에 부딪혀서 절망하는 그녀의 모습을 볼 때면 참으로 안타까웠다. 현대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지만 그 때문에 자신의 일생이 불행해진다면 그것도 추천할 만한 삶의 방식은 아닌 듯 싶다. 오히려 바보같이 행복하게 사는 것이 오히려 만족할만한 삶이 아닐까.
책 표지에 있는 얼굴없는 여성의 모습은 왠지 쓸쓸하다. 누군가와 함께 하고 싶은 열정은 가득하지만, 결국에는 혼자 남겨진 모습을 보면서 주인공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된다. 사실 주인공의 절망은 너무나도 커서 이 책을 읽는 동안은 같이 절망하고 슬픔을 느낀다. 사실 심각한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성격이라 썩 마음에 들지는 않았지만 그 시대의 지식인이라면 누구나 고민했을 그 문제에 대해 조금은 이해하고 공감이 가는 듯 하다. 그 때는 사회 분위기가 굉장히 음울하여 모든 것을 조심했어야 하는 시대였다. 한 사람의 힘이란 너무나도 미약해서 세상을 바꾸기에는 많이 모자랐다. 그런 시대를 치열하게 살다가 간 전혜린의 모습에서 조금은 애련한 감정마저 든다.
아직까지 그 사람을 잘 모르지만 이 책을 통해서 아주 조금은 가까워진 듯한 느낌이다. 전혜린 한 사람 뿐만이 아니라 그 시대의 조금 교육을 받은 지식인의 모습을 고스란히 묻어있는 이 책이 지금은 모든 것이 비교적 자유로운 현대인들에게 하나의 울림이 되었으면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