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만나는 스무살 철학 - 혼돈과 불안의 길목을 지나는 20대를 위한 철학 카운슬링
김보일 지음 / 예담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철학'이라고 하면 굉장히 딱딱한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을 말할 것도 없이, 바로 내가 그러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철학자들이 말했던 이론들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것을 볼 때 철학자들의 사유가 대단했구나, 라는 감탄을 하게 된다. 그래서 철학이라는 학문은 가깝고도 멀게 느껴지는 것인가 보다. 나이 스무살에 철학에 대해 심각하게 논의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일단 아는 것이 많아야 하고, 그 분야에 대한 책도 상당수 읽어야 가능하다. 그렇다면 스무살은 그저 한참을 고민하고 방황하다가 인생의 쓴맛을 안 뒤에야 철학의 의미를 깨달을 수 밖에 없는 것일까? 그런 고민을 조금은 덜어주기 위해 이 책이 나왔다. 이 책의 저자는 여러 분야의 책을 섭렵했는데, 책의 내용만 봐도 엄청난 다독가임을 알 수 있다. 생각하는 깊이가 느껴지고 어느 때에 어떤 비유를 써야 가장 적당한지를 아는 저자는 누구보다도 쉽게 삶과 철학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해서 알려준다. 그래서 산뜻한 느낌의 표지가 더더욱 가깝게 느껴지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사실 20대의 중반을 넘어선 나이지만, 아직도 나 자신을 제대로 못 찾고 방황하고 있다. 현재의 여건을 살펴봤을 때, 남부러울 것이 없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다. 너무나도 욕심이 많고, 또 주변에서 20대의 성공에 대해 많은 이야기들을 들었기 때문에 나는 그보다 더 잘해야 성공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초조함에 항상 불안했다. 내가 원하던 길은 이 길이 아니었던 것 같은데, 어느새 이 길로 접어들었고, 열심히 일을 하면서도 가끔씩 슬럼프에 빠지는 일이 일상다반사였다. 그래서 더더욱 이 책이 나에게 필요했을지도 모르겠다. 방황하는 20대를 위한 책이라는 말에 덥썩 집어들었으니 말이다.

 

이 책의 내용을 한 마디로 정리한다면, 지금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순응하라,는 말이 아닐까 싶다. 어떻게 보면 너무나도 의욕이 없고 뭔가를 해내겠다는 욕심이 없는 사람의 항변으로 들릴 수도 있겠으나 철학에서 말하는 행복의 조건을 따져보았을 때 성공을 한 사람이나 그렇지 못한 사람이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단순히 사회적인 지위가 아니라 자신이 얼마나 그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끼는가에 달려있다고 한다. 주변 사람들을 돌보지 않고 일에만 파묻혀서 나중에 엄청난 돈을 벌었다고 하더라도 주변에 사람이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외로움에 땅을 치고 후회를 해도 그 때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자신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열심히 일을 하되, 주변을 살피면서 나아가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상당히 인상깊었다.

 

자칫 자신 위주로 생각하기 바빠서 그냥 넘어갈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저자는 조곤조곤 친철하게 알려준다. 절대 까칠하지 않은 아저씨의 목소리로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떻겠냐고 조언을 하는 덕분에 귀가 굉장히 얇은 나는 나에 대해서, 그리고 행복의 조건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물론 지금도 돈이 많으면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만, 무조건적인 절대 조건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어떻게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서 같은 상황이라도 다르게 볼 수 있는 것이다. 바람에 쉴새없이 흔들리는 갈대같이 어지럽던 마음이 조금은 정리된 느낌이다. 뭔가 확실한 기준을 찾지 못해서 방황하고 있는 20대라면 꼭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