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못 읽는 남자 - 실서증 없는 실독증
하워드 엥겔 지음, 배현 옮김 / 알마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처음에 보았을 때, 책을 못 읽는 남자라니,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싶었다. 그런데 세상에는 이렇게 특이한 병도 있었다. 멀쩡하게 글을 창작하는 작가에게도 어느날 갑자기 뇌졸증이라는 무서운 질환이 들이닥쳤다. 뇌에 경미한 손상을 입었는데 하필이면 책을 못 읽게 된 것이다. 물론 활자로 쓰여진 것은 이제 더이상 문자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래도 신기한 것은 스스로 글은 쓸 수가 있다. 비록 자기가 쓴 글은 다시는 보지 못하게 될지라도 말이다. 이러한 놀라운 병력을 가진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어냈다. 사실은 다시는 책을 읽을 수가 없기 때문에 퇴고의 과정이 줄어들어 내용이 조금 어색한 부분도 있지만 이것은 온전한 작가 자신의 목소리가 그대로 담긴 책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이 작가가 앓고 있는 병은 정신병 중에서도 상당히 특이한 질환에 속한다. 책 읽기와 쓰기를 모두 못하는 경우는 가끔 볼 수 있지만, 쓰기 능력이 살아있다는 것은 좀처럼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이러한 뇌질환도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책 읽기를 광적으로 좋아하던 사람에게 갑자기 책 읽기를 할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나도 단 하루라도 읽을 거리나 책이 주변에 없으면 굉장히 초조해하는 편이라 이 남자의 심정이 절실하게 이해가 되었다. 사실 글자를 읽는다는 것이 어릴 때 어느 순간부터 저절로 된 느낌이라 굉장히 복잡한 사고의 과정을 거쳐서 되는 일인 줄은 전혀 몰랐다. 하지만 문자를 이해하고 그것을 다시 의미로 풀어내는 과정은 순간이지만 지적인 뇌의 운동을 통해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한다. 아무런 거리낌없이 글을 읽을 수 있는 나는 어쩌면 굉장히 복받은 사람일지도 모르겠다. 세계의 공용어인 영어를 포함해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는 한글을 읽고 쓸 수 있으니 말이다. 원래 불행한 타인을 보면서 스스로의 위안을 받는 감정이 있다고 하던데,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은, 아주 약간은 우월감을 느꼈다고 한다면 그것은 사실이다.

 

책을 거의 읽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이 남자는 책을 끊임없이 사들인다. 책을 아예 읽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이전보다 많이 걸리지만 읽기는 가능하기 때문에 책에 중독된 사람은 끝까지 책을 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도 이전에 비해서는 많이 나아졌다고 한다. 그리고 심지어는 원래 직업인 추리소설 작가의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한다. 원래 추리소설이라는 자체가 글을 쓰면서 중간중간에 단서를 묻어두기 마련인데, 기억력도 끊어지고 예전에 자신이 쓴 글을 읽기 어려운 상태에서 추리소설을 쓴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나름대로 영미권에서는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라고 하는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직 번역되지 않은 듯 싶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보니 영어로 된 책은 나오는데 한글로 번역된 책은 나오지 않았다. 작가가 실서증 없는 실독증에 걸리면서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도 같은 질병을 앓게 되었다. 본인이 직접 체험하고 있는 병이니 그 누구보다도 생생하게 그 상황을 묘사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왠지 아이러니하다.

 

아무튼 이 책을 읽으면서 뇌질환 중에는 이런 병도 있구나, 라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고, 또 그 병을 극복하기 위해서 무수한 노력을 기울이는 한 사람의 땀방울도 보았다. 나에게서 책 읽는 즐거움이 없어진다면 아마 삶의 즐거움 중 절반은 저절로 없어지게 되는 일이 될 것이다. 아직까지는 나에게 일어나지 않았으나 언제 어디에서 나에게도 뭔가 불행이 닥칠지도 모른다. 항상 나에게 주어진 소소한 것들에게 감사하면서 살아야겠다. 그리고 조금더 치열하게 살아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전에는 당연하게 생각했던 독서의 즐거움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어주는 책이다. 자신이 책 중독에 빠져있다면 적극적으로 작가와 공감하면서 읽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