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 지식에서 행동을 이끄는 독서력
구본준.김미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책 읽기를 굉장히 좋아하는 책벌레이다. 사실 아무리 피곤한 저녁이라도 책을 단 한장이라도 읽지 않으면 잠이 오지 않을 정도로 심각하게 책에 중독되어 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책 읽는 사람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지만, 사실 내 주변에서는 이렇게 책을 좋아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 그래서 책을 좋아하는 다른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책을 읽는지 무척 궁금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내가 읽어온 책을 읽는 방식 중에서 바꿀만한 점이 있다면 다른 사람들의 독서법을 보고 조금 개선해볼까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에는 참 많은 독서광들의 인터뷰 내용들이 담겨있다. 이 책을 지은 두 저자는 사실 어떤 내용을 제시한다기 보다는 많은 사람들의 책 읽는 이야기를 정리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해주는 전달자에 더 가깝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은 어떤 방식과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는지 살짝 엿볼 수 있는 재미를 가지고 있는 책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은 그리 어렵지 않고 술술 넘어간다. 이 책을 저자들은 신문기자 출신답게 알고 싶은 내용들을 간략하게 핵심만 콕 집어서 잘 정리해놓았다. 그러고보니 독서광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책 읽는 방식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이미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 경제 경영서를 많이 읽고 있었다. 독서를 오래 하다보면 책을 읽는 분야의 범위가 넓어진다고 하는데 그 말은 굉장히 공감가는 말이다. 사실 한 분야만 계속 읽다보면 조금 질리는 면이 없지 않다. 그 때 다른 분야의 책을 읽게되면 어찌나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지,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나도 소설을 주로 읽다가 요즘에는 자기계발서를 비롯한 실용서 위주로 책을 많이 읽고 있는데, 다른 분야로 또 확장을 하고 싶은 욕심이 슬슬 나고 있다.

 

그런데 무작정 책을 읽는 것은 그저 글자를 파먹을 뿐이라는 구절에서 상당히 공감갔다. 책을 한 권 읽고나서 서평을 쓰지 않으면 사실 내가 나중에 그 책을 다시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기억이 잘 나지 않고, 그 책의 핵심 내용이 정리가 잘 되지 않는다. 간략하게나마 서평을 쓰게 되면 나중에라도 서평을 훑어보면서 그 당시 내가 그 책에 대해 가졌던 생각에 대해 다시금 되돌아볼 수 있어서 책을 읽고 나서 서평을 쓰는 것은 굉장히 좋은 습관이다. 혹시 책을 그저 읽는데만 그쳤던 사람이라면 앞으로는 길게는 아니더라도 꼭 서평을 쓰길 권한다. 단 한두줄이라도 나의 느낌이나 공감가는 구절을 적어두면 그 책에 대한 인상이 더욱더 깊게 남는다.

 

그리고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100권 정도의 책만 읽으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말에,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나는 얼마나 많은 책을 읽었는지 다시금 되돌아보게 되었다. 사실 전공 관련책은 의식적으로 피한 경향이 없지 않은데, 겨우 100권의 책도 읽지 않고서 그 분야의 최고가 되려고 하는 것이 얼마나 바보같은 생각인지 내 자신이 한심스러워진다. 이 책을 읽고나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직업에 관련된 지식의 책을 지금이라도 찾아서 착실하게 읽어봐야겠다는 다짐을 굳게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터뷰 도중에 인터뷰이들이 추천한 책이 몇 권 있다. 그들의 인생에 큰 영향을 준 책이라는데 아마도 굉장히 좋은 내용일 것 같아서 인터넷으로 책을 주문해서 나도 보려고 한다. 아마 그들과 같은 감동은 느낄수 없을지라도 꽤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을 통해서 현재 나의 책 읽기를 반성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책을 너무나도 읽고 싶은데 동기 부여가 되지 않은 사람이나, 책을 굉장히 좋아하는데 어떻게 하면 좀 더 효율적인 책 읽기를 할 수 있을지 궁금한 사람이라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길 권한다. 나름대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