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 고진하의 우파니샤드 기행
고진하 글.사진 / 비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도라는 곳은 언제 들어도 신비한 나라인 듯 하다. 특히 인도를 여행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어보면, 겉으로는 가난해보이지만 내면으로는 참으로 부자인 사람들이 많은 곳이 바로 인도이다. 신들로 가득찬 그들의 생활과 함께 독특한 풍습 때문에 세계의 사람들을 끊임없이 인도라는 곳으로 끌어들이는 힘이 그 곳에는 있는 듯 하다. 이 책 또한 한 사람이 인도를 여행하고 나서 쓴 여행기이다. 그런데 조금 특이한 면이 있다면, 이 책을 쓴 작가가 바로 목사라는 것이다. 보통 인도라는 곳은 워낙 많은 신을 모시고 있는 나라라서 유일신 사상을 가진 기독교에서는 별로 반기지 않는 곳이다. 하지만 작가는 이미 목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 종교에 대한 무한한 관심을 표현한다. 사실 모든 종교는 비슷한 사상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타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종교라는 학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여행기이어서 그런지, 이 책에는 사실 여행기치고는 꽤 어려운 철학적 내용들이 많이 담겨있다. 우파니샤드 라는 고전에 흠뻑 빠진 작가이기에 이 책의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가 무척이나 많다.

 

이 책에 실린 인도 여행 사진은 나름대로 인상적이다. 아주 뛰어난 작품은 아니지만, 인도인의 삶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진들이기에 책을 읽으면서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종교에 관심이 많은 작가이기 때문에 그런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기를 권하는 문구들이 종종 등장한다. 사실은 워낙 이런 분야에는 관심이 없어서 중간중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꽤 있었다. 하지만 친절한 작가의 설명 덕분에 조금은 종교라는 것을 배타적인 관점이라기 보다, 관용적인 관점으로 보게 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서는 나 자신 본연의 모습을 찾기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데, 조금은 추상적인 방법과 익숙하지 않은 용어 사용으로 인해서 가끔씩은 읽다가 어리둥절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인도라는 나라를 이런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는 것은 큰 수확이다. 사실 대부분의 여행기를 보면 관광지 위주로 쓰여진 부분이 많은데, 작가는 오랜 인도 여행을 통해서 알게 된 숨겨진 장소의 매력들을 함께 소개하고 있어서 색다른 인도의 모습또한 볼 수 있었다. 인도라는 곳은 항상 뭔가 그리움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다. 나와는 큰 상관이 없는 나라와 대륙임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와 함께 신과 함께 하는 문화가 뿌리박혀 있어서인지 한번쯤은 가보고 싶다는 열망을 불러일으킨다. 아직도 신들의 문화가 지배하고 있지만 분명한 것은 그 땅에 사는 것은 따뜻한 피가 흐르는 인간이다. 기회가 된다면 가끔 어리둥절 해지지만, 따뜻한 정이 있는 인도를 방문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