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델피누스 - 아틀란티스의 돌고래 인간
마를리제 아롤드 지음, 김태성 옮김 / 지양어린이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에 바다를 보고 굉장히 감동을 받았다. 끝도없이 펼쳐진 물이 가득 찬 그 곳. 왠지 바다를 보고 있으면 한 없이 비밀을 품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그 깊은 물 속에는 과연 어떤 생물들이 숨겨져 있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 아닌가. 물론 과학이 발달했다고는 하지만, 아직 바다의 신비를 모두 풀기에는 인간의 능력으로 모자라다. 이 책은 돌고래인간에 관한 이야기이다. 굳이 분류를 하자면, 환상 동화라고 할까. 청소년을 대상으로 쓰여지기는 했으나 어른들이 읽기에도 큰 무리는 없다. 판타지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의 내용이 마음에 들 것이다. 전체적인 스토리는 단순하지만, 아마 영화로 만들어도 구성상 흥미진진할 듯 하다. 굉장히 많은 CG가 들어가야 하겠지만!

 

'호모델피누스'란 돌고래인간을 의미한다. 이것은 이 책의 주인공들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주제를 함축하고 있는 단어이기도 하다. 뭔가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단어이지만 알고보면 꽤 단순한 단어이다. 돌고래를 어릴때부터 좋아했던 터라, 이런 단어를 듣고 있으면 뭔가 몽환적인 느낌을 받는다.

 

사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동심으로 돌아간 듯한 느낌이 든다. 선과 악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권선징악적인 이야기 구성과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정의를 추구하는 주인공들은 어릴때 한참 읽었던 안데르센의 동화와 비슷하다. 하지만 배경이 중세에서 현대로 옮겨왔다는 점에 있어서는 다른 점을 보이고 있다. 덕분에 첨단 장비들도 많이 등장하고, 요즘 지식수준이 한창 높아진 아이들의 눈높이에도 결코 뒤지지 않는 수준을 보여준다. 너무 유치해서 못 읽겠다,는 반응은 절대 보일 수 없는 작품이다. 물론 작품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소 억지스러운 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크게 눈에 거슬릴 정도는 아니다. 작품의 진행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애교로 봐줄 수 있는 정도이다.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아틀란티스에 대한 환상을 꿈꾸어왔다. 이 작품에서는 아틀란티스를 신비한 세계로 두리뭉실하게 그리고 있는데, 아틀란티스의 종족이 돌고래인간이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한다. 물론 가상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상상은 자유이지만, 이런 모습으로도 아틀란티스가 묘사될 수 있다는 점도 한 번 눈여겨볼만 하겠다. 판타지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한번 읽어보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