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세 시대가 온다 - 실리콘밸리의 사상 초유 인체 혁명 프로젝트
토마스 슐츠 지음, 강영옥 옮김 / 리더스북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요즘 사회가 변하는 세태를 보면 정말 놀랍다는 생각마저 든다. 물론 자연스럽게 우리 생활에 디지털 문화가 스며들었지만, 잘 기억이 나지 않는 어린 시절과 비교해보면 지금은 쌍방향 소통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을 이용한 이동수단이나 렌트 등의 문화는 이미 자리잡고 있는데, 사실 의학 분야까지 뭔가 기술 발전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지금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의학 디지털 혁명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다. 의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미 사람의 수명은 많이 늘어났는데 AI까지 가세하면 더더욱 늘어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미래에는 사람들의 관심이 건강한 삶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보고 있는 이 상황에서 이러한 의학계의 변화는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다.

의학계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양한 분야가 있다. 그 중에서도 저자는 지금 IT 기술과 접목하여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처음에는 단순한 호기심이나 아이디어로 시작했겠지만 결국 돈이 있는 사람들의 관심은 본인이 어떻게 하면 좀 더 오래 그리고 건강하게 살 수 있는지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 많은 투자금이 몰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최신 의학 기술 트렌드가 가득 실려있어서 읽는 동안 무척 흥미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사실 어려운 용어는 별로 없다보니 이 분야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독자라도 차근차근 읽다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국은 환자 개개인의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분야의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는데, 개인 정보 중에서도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본다. 하지만 보다 질이 높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면 충분히 설득 가능한 논리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사람의 몸은 수세기 동안 많은 학자들이 연구했지만 아직도 미지의 영역이 남아있다. 최근 들어서는 IT 기술과 결합하면서 그 발전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고 있는데, 이 속도를 유지한다면 이 책의 제목대로 200세까지 사는 것도 아예 꿈만 같은 이야기는 아니라고 본다. 물론 기대 수명이 높아지면서 우리가 사는 모습도 아예 바뀔 것이다. 나도 생을 마감하는 날까지 건강하게 살고 싶은데, 과연 미래의 의학 기술이 어디까지 어떻게 바뀔 것인지 무척 기대된다. 의학과 결합된 IT 기술의 현황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바란다. 생각지도 않았던 분야의 발전 모습에 내심 놀라게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