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의 바이올린
진창현 지음, 이정환 옮김 / 에이지21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어릴 때부터 악기에 대한 묘한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오케스트라에서 꽤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악기인 바이올린은 뭐라 말할 수 없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바이올린 연주자라고 하면 왠지 멋있어 보였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러한 멋진 바이올린을 만들어내는 바이올린 제작자의 이야기이다. 왠지 악기를 만들어내는 사람이라고 하면 소리를 만들어 내는 사람이 아닌가. 어떻게 보면 연주자 못지않게 연주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나름대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바이올린 제작의 명인 중의 한 사람이 바로 한국인이라는 사실이다. 서양 악기라 하면 서양 사람이 가장 잘 만들 듯 한데, 다른 나라 사람도 아니고 우리 한국 사람이 이런 일을 해냈다는 사실에 대해 굉장히 감동을 받았다. 표지에 실린 그의 얼굴은 섬세하면서도 고집있는 그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 하다.

 

바이올린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그가 바이올린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 숟하게 고생한 이야기를 보면 나도 모르게 감동을 받았다. 한가지 목표를 위해 달려나간다는 것이 보통 의지가 아니고는 하기 어려운 일이다. 현재 거의 모든 물자가 풍부한 지금도 하나의 목표를 위해 달려나가는 것은 쉽지 않은데, 먹고 살기도 어려운 시절에 바이올린을 만든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지칠줄 모르는 그의 끈기가 결국은 동양의 스트라디바라우스로 거듭나게 만들었다.

 

예술과 관계된 사람은 우리의 감성을 풍부하게 만드는데 일조한다고 생각한다. 세상이 조금씩 각박해져가는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가 음악을 들을 때, 특히 그 음악이 클래식인 경우 나도 모르게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인 가요 음악보다 깊은 곳에서의 울림이 전해져온다.

 

이 책에서는 바이올린을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명인의 아들에게도 잘 전수해주지 않는다는 기술인데, 어찌 책에서 언급을 하겠는가. 하지만 그동안 그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했던 그 숟한 경험들은 할아버지가 손자들에게 들려주듯 생생하고 자세하게 나와있다. 과거의 추상적인 위인전보다 이렇게 직접 나에게 다가오는 그의 음성이 무엇보다도 실감나서 더욱 읽는 재미가 컸다. 다만 아쉬운 점은 전체적으로 다소 어색한 일본어식 번역이 눈에 거슬린다는 점이다.

 

그래도 이렇게 멋진 바이올린 제작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너무 기쁘다. 앞으로 바이올린을 볼 때면 항상 그의 이름을 떠올리게 될 듯 하다. 앞으로도 그가 더욱 좋은 바이올린을 제작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