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의 바른 나쁜 인간 - 도덕은 21세기에도 쓸모 있는가
이든 콜린즈워스 지음, 한진영 옮김 / 한빛비즈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 사회에서 도덕이란 무엇일까. 사실 '도덕'이라는 단어는 학교 다닐 때 배운 과목 이름이라는 것 외에는 특별히 인상깊은 단어는 아니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렇다. 그런데 사회 생활을 하다보면 도대체 어릴 때 학교에서 도덕을 제대로 배운 것인지 의심스러운 사람들이 더러 있다. 그러고보면 학교에서 배울 때보다 실제 사회 생활에서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도덕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실제 생활에 접목하려면 이론적인 내용을 조금 응용해봐야 한다.
저자도 이러한 의문을 갖고 실생활의 도덕에 대해 여러 사람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평범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독특한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었다. 사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특이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도덕 관념이 일반적인 사회적 통념과 많이 다를지 궁금했었는데, 사회 문화적인 차이 외에 도덕에 관한 관점은 생각보다는 많이 이상하게 여겨지지는 않았다. 사실 평범한 사람들과 조금 다른 점도 있기는 했지만, 그들 스스로 자기 합리화를 많이 한 덕분인지, 그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이 일반적인 도덕 관념에 크게 어긋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회적인 통념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더라도 그 당시에는 그들 나름대로의 합당한 이유가 있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도덕에 관해 읽어보다보니, 실제 도덕이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전에는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행위라면 그렇게 도덕에 어긋나지 않다고 생각했었는데, 그렇게만 해석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다른 사람들에게 큰 해가 되지 않지만,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거나 혼란을 야기하는 행동은 분명 도덕에 어긋난다.
뭐라고 딱 단정지어서 말하기 어려운 주제이기 때문에 앞으로 사회가 또 어떤 도덕규범을 만들어갈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심지어 스스로 학습하는 AI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이런 사회 환경에 맞는 새로운 도덕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인간성을 잃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이런 주제에 대해 고민하고 또 토론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사회의 도덕에 관해 생각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