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많이 들어 살아온 시간과 기억이 충분히 쌓인다 해서 쉽게 죽음을 수긍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시간은 물리적인 것도 아니고 실재적인 것도 아니라 양감도 질감도 없으니 언제나 ‘여기’, ‘지금’ 은 찰나이고 아쉬울 듯하다. 양껏 공기를 마시고 충분히 지는 노을을 감상했다 여기는 시점이 상상되지 않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힘든 일에 지쳐도 그게 삶을 떠나고자 하는 마음과 일치하지 않는 이유도 그렇다. 그래서 자기가 자신의 삶의 마침표를 응시하는 데에는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 머리와 마음의 간극은 삶과 죽음의 거리와 겹친다.

‘죽음’을 완상하고 토론하기는 쉽지만 내가 주어가 되어 느끼는 그것은 두려움의 진동을 통과한다. 어느 날 ‘내’가 ‘나’라 느끼는 시간과 공간이 스러진다,는 상상은 막연하고 공포스럽다.

그녀는 그 과정을 통과한다. 이제 그녀는 죽음을 직시해야 할 때가 왔고 그것에서 도망가기란 그녀가 살아온 삶을 부정하는 것 만큼이나 비현실적인 것임을 직감하게 되는 그 시점에 와버리고 만 것이다. 코리 테일러는 자신의 삶의 개별성과 그 개별성이 뻗어나가 도달하는 그 종착점의 보편성을 담담하게이야기한다. 이 이야기는 지극히 사적인데 그래서 또한 대단히 공적이다. 왜 그렇지 않겠는가. 우리 모두는 결국 죽는데 말이다. 우연이 낳은 탄생과 삶의 점화는 필멸을 향해 출발하는 것이니 말이다.

태양은 지고 사랑은 저물고 생명의 불꽃은 결국 꺼진다. 이 단순명료한 명제가 품고 가는 삶의 복잡다단함에 질릴 때 죽음을 수긍하고 자신만의 목소리로 자신의 삶을 들려주는 이 이야기는 깊게 공명한다. 아직 더 많이 보고 더 깊이 느끼고 싶어하는 삶에 대한 애착을 고백하는 그녀의 목소리가 애달프게 들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8-02-11 1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 얉지만 울림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게 참 그렇더군요. 올해로 오빠가 세상을 떠난지
5년째고 오빠와 별로 잘 지내지도 못 했는데
가끔 그리워지기도 해요. 사람에게 그런 능력이 있다는 게
신기하기도 해요. 살았을 땐 안 좋은 것들이 죽음 앞에선
연민과 그리움 뭐 그런 걸로 바뀔 수 있다는 게.
저도 기회되면 읽어봐야겠슴다.
잘 지내죠?^^

blanca 2018-02-12 02:55   좋아요 0 | URL
스텔라님 오빠가 돌아가신 지 벌써 오 년이 흘렀군요. 그럼요. 스텔라님 마음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아요. 살아 숨쉬고 같이 얘기 나누던 사람이 죽음이라는 경계로 완전히 없었던 존재처럼 사라진다는 게 참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적응이 안되는 문제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