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륜은 분명 나쁜데 마흔이 훌쩍 넘은 중년의 스토너가 젊은 여자 강사 캐서린과 함께 한 시간은 그러한 기준을 빗겨간다. 스토너도 분명 아내에게 첫눈에 반했고 그녀 앞에서 욕망으로 몸이 달았던 시간이 있었지만 이미 그의 결혼 생활은 파국으로 치닫고 있었다. 그렇다고 해도 결혼이라는 제도 안에 있는 한 그가 자신보다 훨씬 어린 여자와 직장에서 만나 사랑에 빠진 일은 분명 누군가에게 이해받거나 용인되기 힘든 일이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스스로 이별을 결심한다. 캐서린과 헤어지고 스토너는 훌쩍 늙어버린다. 그의 가슴 안에 있는 무언가가 죽어버린다. 중년의 사내는 급격히 노인이 되어간다.
드문 드문 다시 <스토너>를 읽는다. 캐서린과 헤어지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스토너는 그녀가 완성한 책의 헌사의 이니셜을 통해 다시 그녀를 사랑했던 잃어버린 자기 자신을 발견한다. 이 대목은 언제나 가슴이 시리다.
'To W.S.'
둘은 많은 것을 공유했고 그 중에 학문적 성과를 함께 했다. 스토너는 캐서린의 논문에 이정표가 되어준다. 열정보다는 담담한 재발견의 시간이 그들의 사랑의 영토를 채워준다. 작별하고 늙는다. 늙다 죽는다.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대처의 대학 교수가 되었다는 것은 어쩌면 입지전적인 일로 평가될지도 모르지만 그의 삶의 궤적의 촘촘한 결을 따라가지 않으면 그의 삶은 평범하고 때로 실망스러운 것으로 폄하된다. 한 사내의 삶을 작가 존 윌리엄스는 놀라울 정도로 사려깊게 따라간다. 그 자신의 자전적인 요소들이 곧곧에 편재하다 보니 이것은 한 사람의 삶의 연대기를 그저 엮어 보여주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때로 오해되고 이해된다. 그 누군가의 삶도 결국 따라가다 보면 한없이 아련하고 서글프고 아름답다. 그가 살며 보여줄 수밖에 없는 것들 밑에 가라앉는 것에 대한 묘사는 그래서 고귀하고 소중하다. 그러니 소설은 언제나 죽지 않는다. 보여지는 게 다가 아니라는 것을 설득할 수 있는 장치는 이럴 수밖에 없다.
그냥 다시 읽다 보니 <스토너>를 누가 연기하면 가장 설득력이 있을까 혼자 이런 저런 캐스팅 작업을 하다 콜린 퍼스로 낙찰을 봤다. ^^:; 제시 홀에 입성하던 신입생의 풋풋한 연기까지 가능할 지는 콜린 퍼스의 지금 나이로 상상하기 힘들지만 중년에서 노년으로 가로지르는 스토너의 삶은 콜린 퍼스가 충분히 잘 소화해 낼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캐서린 역이 잘 안 떠오르고 점점 건조해지고 냉담해지는 아내 이디스는 왠지 도도하고 귀족적인 기네스 펠트로가 떠올랐다.
이제 스토너가 퇴임을 저울질하며 암선고를 받는 말미에 이르렀다. 이제 스토너는 곧 죽을 것이다. 그리고 작가 존 윌리엄스는 철저히 스토너의 시선으로 스스로의 죽어가는 과정을 그려낼 것이다. 그리고 그런 마침표는 나에게 주어질 것이기도 하다. 이 남자의 삶은 갸륵했지만 무의미하지는 않다. 사랑한다고 생각했지만 실패했고 학문적으로 성실하고 진지하게 열정을 쏟아부었지만 큰 성과가 없었다. 끝까지 가르치고 싶었지만 병마 앞에서 좌절당했다. 그러다 마침내 홀로 죽게 된다. 모든 세부의 사항들을 개인적인 것들로 치환하면 커다란 도식은 우리 모두의 것과 닮았다. 끊임없이 시도하고 좌절하고 실망하고 사랑하고 헤어지다 마침내 작아져 죽을 것. 당연한 듯도 한데 이렇게 한 사람의 삶으로 형상화하면 자꾸 서럽다. <스토너>는 서러운 이야기다. 결국 서러워지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