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경사 바틀비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허먼 멜빌 지음, 공진호 옮김, 하비에르 사발라 그림 / 문학동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정도로 무식했냐면 <백경>의 작가 허먼 멜빌의 소설이니 <필경사 바틀비>도 그런 고래에 관련된 마초적인 얘기인 줄 알았었다. 고래 鯨과 밭갈 耕자도 구별 못하면서 허먼 멜빌을 안다고 차마 말하지 못하겠다. 

가로로 길쭉한 특이한 판형, 약간 그로테스크한 분위기의 삽화, 백 페이지도 안 되는 분량. 실패해도 괜찮겠다 싶었다. 적어도 출발 전에 각오해야 하는 거리는 아니다. '재미'를 기대하지는 않았고 '의미'는 있겠다 싶었다.  

화자는 바틀비가 아니다. 야망이 없는, 그러나 어느 정도는 선량하고 어느 정도는 속물적이고 비겁한 초로의 변호사다. 게다가 배경은 월스트리트다. 예전에 복사기가 발명되기 전 인간 복사기의 역할을 대행했던 필경사들을 부리면서 '나'는 종종 당혹스럽게 된다. 역시 기계가 아닌 탓이다. 토너나 갈고 프린트용지나 공급해 준다고 역할을 다 해낼 수는 없는 터. 이미 고용중인 두 명도 만만치 않은데 소극적인 저항을 교묘하게 하는 바틀비가 걸어들어오고 만다. 바틀비는 반항적이다. 시키는 일을 하지 않는 쪽을 택하겠다고 공표한다. 그런데 이 반항은 서글픈 데가 있다. '나'는 모질게 바틀비를 내칠 수가 없는 그 무엇에서 돌아설 수가 없다.  

다소 특이한 사람을 부리는, 이 사회에서 용인되는 평범함 속에 안주하는 '나'의 번뇌와 갈등. 바틀비와 '나'는 분리된 객체가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비춰주는 거울과 같다. 구조와 관습, 상식에서 미끄러져 나가고 소외되는 바틀비를 힘겹게 지켜 보면서 '나'는 한없이 불편하다.  

이러한 얘기들. 언뜻 급박한 전개도 긴장감도 번지르르한 서사도 없는 듯이 보이는 이 얘기가 이다지도 잘 읽히고 결말을 궁금케 하는 것은 작가의 저력이기도 하고 이야기가 품고 있는 인간에 대한 예리한 통찰 덕분이기도 하다. 독자는 '나'와 '바틀비'를 왕복한다. 변호사가 바틀비를 구제해 주기를 바라기도, 외면해 버리고 저만치 앞서가 버리기를 바라기도 한다. 갈팡질팡하는 그 지점이 눈 앞에 펼쳐진다. 들키고 만다.  

슬픈 결말은 구구절절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모든 것을 하겠다고,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미덕으로 간주되는 사회에서 당당하면서도 무력하게 하지 않는 것을 택하는 풍경은 꿈이기도 하고 현실이기도 하다. 그래서 '바틀비'는 살아 있다. 죽을 줄 알면서도.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1-04-26 1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흐, 이 책에 대한 리뷰를여, 메리포핀스님 서재에서 진짜 인상깊게 본거예요.
이거 같은 소설 맞나 싶을 정도로,, 블랑카님 리뷰는 잔잔하고 이쁘네요.

blanca 2011-04-26 22:02   좋아요 0 | URL
이거 완전 재미나요! 마녀고양이님, 강추합니다. 책 자체도 넘 이쁘고요.

노이에자이트 2011-04-26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멜빌의 소설은 거의 대부분 바다가 배경인데 이 소설은 도심 한복판이라서 특이하죠.제가 좋아하는 소설이기도 합니다.가끔은 바틀비 같은 사람과 한 사무실에서 일하면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을 해볼 때도 있어요.물론 사연을 알고 보면 이해가 안되는 것도 아니지만...

blanca 2011-04-26 22:03   좋아요 0 | URL
노자님, 멜빌 다시 봤어요. 저도 완전 좋아하기로 했어요. 멜빌 소설 다른 거 추천해 주실 거 있나요? 백경 말구요.

노이에자이트 2011-04-27 16:05   좋아요 0 | URL
'바틀비'같은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 편이죠.
중편 정도의 분량으로 <빌리버드>를 권합니다.멜빌의 특기인 해양소설이죠.조직을 위해 부하를 희생시키는 것이 어디까지 정당화될 수 있는지 고민해볼 기회가 될 겁니다.군대조직에 대해 생각할 기회도 되구요.

2011-04-27 16: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4-27 21:4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