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년의 뜰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4
오정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유년의 뜰은 오정희 연작 소설 중 하나이다. 중국인 거리를 포함하여 8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대부분의 성장 소설이 그녀의 소설의 재탕 삼탕이라는 얘기 및 꽤 한다는 소설가들의 추천도서 목록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어 언젠가는 읽어야 겠다고 벼르고 있었던 소설인데. 세상에  이 책 속의 단편들 너무 낯익다. 분명 읽. 었. 다. 나는 읽는 데에만 미쳐 기록하지 못한 업보로 읽었던 책도 읽은지 모르고 또 읽고 안 읽은 책을 읽은 줄 알고 이런 식이다. 다행히 정신차리고 최근들어 리뷰를 열심히 쓰고는 있지만 분명 읽었던 책을 벼르고 별러 다시 읽는 느낌은 그닥 상쾌하지 않다. 

'유년의 뜰'과 '중국인 거리'가 참 좋았고, 나머지 단편들은 어떤 체험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여성. 특히나 전업주부의 외출의 기본 구도. 1인칭 시점. 서사가 빠진 듯한 문체의 유려함은 조금 부담스러웠다. 아주 기가 막힌 상상력력의 소유자이거나, 인간관계가 펄럭이는 너울 같아서 다양한 간접체험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바에야, 그 자신 삶이 지지부난하다면 훌륭한 소설가가 되기는 참으로 어렵다는 생각이다. 그녀의 삶이 비교적 안온해서 후기작이 초기작보다 못하다는 얘기를 언뜻 읽은 기억이 난다. '유년의 뜰'과 '중국인 거리'를 읽게 되면 은희경의 '새의 선물'과 신경숙의 '외딴 방' 등이 다 기본적으로 오정희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는 데에 놀라움을 금하지 못하게 된다. 그 정도로 수작이다. 작중 화자. 그리고 철저히 관찰자의 입장 견지, 뜬금없이 등장하는 언니나 친구들의 분방한 삶. 이 정도의 구도.  

시적인 소설은 이 작가에게서 비롯되었나 보다. 수많은 의성어, 의태어 들의 활용과 공감각적 표현 들은 경탄할 만하다. 평론가의 말처럼 소설에 탐구적 명제를 실천한 이 작가에 쏟아지는 찬사들에는 진정성이 있다. 이런 표현들. 

   
 

모처럼 잠이 들었을 때에도 힘없이 벌린 입에는 잔울음 끝이 물려 흐득였다.

 
   
   
  햇빛이 교장 선생님의 안경을 가로지르고 그 뒤 흑판에 아아아아아아 떨며 금을 긋고 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그녀의 수많은 의성어와 의태어를 정리하다 보니 상당수가 북한말이라는 것. 의성어와 의태어는 흔히 자의적으로 만드는 실수를 금하기 쉬운데 그녀의 것들은 모두 사전에 실려 있는 표준어였다. 소설도 치열한 공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예증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nde24 2017-06-13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완전 공감합니다!

blanca 2017-06-14 14:22   좋아요 0 | URL
예전 글에 댓글이 있으니 반갑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