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개인적인 이야기는 그 이야기의 발화 자체가 공적 의미를 지닌다. 신변잡기라 할지라도 화자의 내면에 침잠했던 자신의 체험이 오랜 시간 숙고와 그 나름의 의미망을 통과하면 그 경험과 떨어져 있는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는다. 그게 바로 좋은 에세이의 숙성에 관한 이야기일까. 엄청난 스케일의 서사가 없어도 이런 이야기들은 이미 말하여지는 그 행위 그 자체로 이미 들을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을 매혹한다. 최근 읽은 세 이야기가 그랬다. 

















여든을 훌쩍 넘긴 비비언 고닉의 최신작이다. "인생 초년에 중요했던 책을 다시 읽다보면"의 그녀의 여정에 동참하는 읽기다. D.H의 <아들과 연인>, 뒤라스의 <연인>이 비비언 고닉의 개인적 삶의 역사, 예리하게 벼려진 언어의 체를 통과하면 어느덧 겉핥기식이 아닌 그 작가의 그 작품의 심해로 함께 뛰어드는 듯한 심오한 추체험을 하게 되는 마법적인 책이다. "외로움은 규준이고, 연결은 이상이라는 것."이라는 그녀의 냉소의 첨언에도 우리는 읽기 체험에서만큼은 그 마법적인 연결의 순간을 비비언 고닉 그녀 본인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 그녀의 "끝나지 않은 일"은 바로 이런 마법적인 공감의 순간을 지치지도 않고 자아내는 것이리라.

















내가 이 세상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한 것은 없다. 내가 만들거나 건축한 것의 4분의 3은 도시 쓰레기장에 버려져 있다. 이곳저곳에 유용한 역할을 한 적도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해로운 영향도 미친 것이다. 내가 굳게 믿던 것이 나중에 알고 보니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끔찍이 아끼던 것도 나중에 알고 보니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완벽에 관하여> 마크 엘리슨


자신의 일에 대해 쓰면서 이렇게 솔직하게 고백한 경우를 난 본 적이 없다. 내 일에 대해 거창한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온생애를 합리화하는 일에 많은 회고적 쓰기가 동원되는 현실이다. 여러 셀럽의 휘황찬란한 대저택의 건축 및 개축에 중추적 역할을 한 뉴욕의 유명한 목수가 자신의 일이 가지는 결론적 무의미를 자인하는 대목은 그래서 더 역설적으로 감동적이다. 그 누구의 삶도 대단한 유의미와 대단한 기여에 일조하는 것이 아니라는 그 삶의 냉철한 직시가 오히려 지금 우리가 여기에서 영위하는 일상의 가치를 끌어올린다. 인생은 대단한 그 무엇을 위해 동원되는 것이 아니다. <완벽에 관하여>는 그 완벽이라는 이상 자체의 허울을 벗겨내는 일이다. 전문적 작가가 아닌 한 평범한 사람이 어떻게 자신의 생애를 자신의 일과 관련지어 언어화하고 읽는 이들을 설득시킬 수 있는지 이 소박한 글쓰기는 방증한다. 솔직하되 그 솔직함이 전시적이면 안된다. 언어적 증류가 삶을 대하는 태도만큼 치열해야 한다. 그 치열함조차 그것에 취하면 안된다. 그 어디쯤의 가장 적절한 지점에서 글쓰기는 시작되고 끝난다. 


















작가 히샴 마타르의 고향은 리비아다. 그러나 그곳을 떠난 지 벌써 삼십 년이다. 게다가 이 글은 리비아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다. 이탈리아의 시에나에서의 한 달, 시에나 화파의 그림을 보며 그 도시에서 생활하는  이야기다. 이 작은 책에는 그러나 작가 인생의 전부가 농축되어 있다. 카다피 정권의 반체제 인사였던 그의 아버지는 가족과 이집트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납치되어 생사불명 상태로 연락이 끊긴다. 작가는 이 이야기 <귀환>을 써서 퓰리처상을 받는다. 


생이 계속될 수 없다는 증거, 어떤 갑옷을 두르든 예외 없이 모든 것이 사라져야 한다는 부정할 수 없는 증거를 대면하고도, 우리는 얼마나 용감하고 영웅적인가.

이 도시의 알레고리는 작가의 삶의 서사 자체를 지휘한다. 이 도시 안의 그림들은 아버지의 상실을 딛고 작가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다만 그 저류의 그 쉬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떠오르는 강력한 의지적 희망을 적시한다. 조반니 디 파올로의 <낙원> 그림에서의 죽은 자와 산 자들의 재회는 그래서 마침표를 찍기에 더없이 적절한 큐레이션이다. 결국에는 사랑하는 모든 이와 헤어져야 하는 우리 인간의 그 처절할 정도로 슬픈 삶의 기본 전제를 확인하며 그럼에도 그들과의 재회를 꿈꾸는 그 지지 않는 마음에 대한 직시는 뭉클하다. 


모두의 삶은 상실을 품고 있다. 그 상실을 품고 나아가는 지점에서 읽고 쓰는 일에서 만나는 일은 언제나 공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