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로 돌아가다 -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그리고 어머니에 관하여
필립 케니콧 지음, 정영목 옮김 / 위고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연말, 아이슬란드의 피아니스트 비킹구르 올라프손의 골드베르크 협주곡 리사이틀을 직관할 기회가 있었다. 나는 바흐를 좋아하면서도 싫어한다. 내가 피아노를 결정적으로 그만두게 된 계기가 '바흐인벤션'이기 때문에 바흐를 원망하는 면이 있지만, 그의 음악을 들으면 설명하기 힘든 치유력을 느끼기에 그 점은 내가 또 바흐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골드베르크 협주곡은 이미 굴드의 해석으로 여러 번 들었지만 제대로 그 음악을 알고 있다기엔 부족한 채로 인터미션 없는 한 시간 삼십분 가량의 연주를 들었다. 큰 기대도 정보도 없이 들어 그런지 중간은 약간 지루한 면이 있었지만, 피아니스트가 이 다성부의 정교한 음악을 어떻게 해석하고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자신만의 그것으로 재정의했는지 그 지난한 노력의 과정이 여실히 그대로 전해져 올 정도로 압도적인 연주였다. 귀에 익은 아리아에서 다시 아리아로 돌아오는 과정, 그 중간 휴지기 관객석의 엄청난 침묵은 그 감동에 모두가 동참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우리 모두 이제 출발한 그곳으로 다시 돌아온다는 감각을 공유하며 함께 공명했다. 그건 마치 인생의 은유 같았다. 우리는 출발했던 그곳으로 다시 돌아온다. 하지만, 그건 처음과 같은 끝의 반복이 아니다. 그 엄청난 여정의 끝에 우리는 변화한 모습으로 안착한다. 그리고 그건 비극적인 종점, 죽음과도 맞닿아 있다.


이 책을 그 연주 전에 읽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무척 아쉽게 만들 만큼 정말 압도적으로 좋은 책이었다. <피아노로 돌아가다>는 퓰리처상을 수상한 저자 필립 케이콧이 어머니의 죽음 이후 그 자신이 직접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피아노로 연습하며 어머니의 애도 과정, 중년의 자신의 삶을 복기하는 이야기다. 이렇게 이 책을 요약한다면 이 책의 반의 반도 제대로 소개하지 않은 것이 되고 만다. 이런 책은 지금도 수십 권이 매해 나온다. 부모의 죽음의 애도 과정에 얽힌 나의 유년, 나의 지금에 대한 사적 고백. 그런 사적인 이야기들은 피곤할 정도로 많이 만들어지고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정말 다르다. 무엇보다 이 책의 핵심은 부모와의 작별이 아니다. 그보다는 저자가 왜 갑자기 오십이 넘어 다시 바흐의 골드베르크로 하필 돌아와 그것을 피아노로 연습하는데 골몰하게 됐으며 그 과정에서 내 내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느가, 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여정은 그것을 읽는 이들 모두를 끌어들이고 기꺼이 공명하게 한다. 심지어 음악에 관심이 없어도, 골드베르크를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도 한번 이 바흐의 역작을 들어봐야 하지 않을까, 그걸 들으면 내가 지금 여기에서 느끼는 막연한 불안감이 좀 잠재워지지 않을까 기대하게 만들 정도로 설득력이 있다.


그의 어머니는 특이하다. 모성애가 풍부하거나 한없는 그리움을 일으키는 그런 전형적 어머니상이 아니다. 통제적이고 변덕이 심하고 자신이 어머니인 것을 싫어했다. 겉으로 보이면 모두 잘 자란 네 자녀의 어머니였고, 경제적 빈곤을 경험한 적도 없는 이 여인은 내도록 불행했고 또 불행한 채로 죽는다. 자신이 그만둬버린 바이올린 대신 저자인 아들의 피아노 레슨에 열성이었던 그녀는 생애 내내 아이들에게 자신이 그들의 어머니가 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희생을 했는지, 자신이 지금 얼마나 불행한지를 강론한다. 이런 어머니의 강압적이고 때로는 폭력적인 양육으로 고통 받았던 저자는 다행히 진정한 스승 조를 만난다. 그가 어린 시절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는 이유는 이 사십년 전 스승이 유일하다. 조가 다른 교사들과 달랐던 점은 제자가 스스로가 되어 나아갈 자유를 줬기 때문이다. 


너 자신에게 귀를 기울여라. 할 일을 해라. 자유롭게 앞으로 나아가 너 자신이 되어라.

-pp.261


이 이야기는 우리의 삶에 주는 제언이기도 하다. 저자의 기획은 어머니의 상실에 대한 애도이자 삶을 재발견하고 죽음을 재정의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무의미한 종지를 향해 줄달음치는 우리의 인생이 허무해보이리지라도 결국 움직여 전진해야 함을 몸으로 깨닫는 일이기도 하다. 그의 말마따나 중년에 바흐의 골드베르크를 다시 제대로 친다고 해도 그게 과연 무슨 거대한 의미를 창출하겠는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가 될 것도 아니고 삶의 커다란 비의를 각성하는 순간을 경험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 자신이 될 자유를 다시 재확인하며 우리는 애처로울 정도로 미약한 존재라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미친 기획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그의 이 허무하고 겸손한 결론은 그것을 넘어서는 울림이 있다. 아무것도 아닌 어떤 것을 완성하기 위해 그토록 노력하는 일 그 자체가 삶이라는 것. 그 도돌이표 앞에서 다시 바흐로 돌아오는 저자의 여정이 감동적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망고 2024-01-02 13: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블랑카님 저도 바흐 너무 재미없어서 피아노칠때 괴로웠던 기억이 있습니다ㅋㅋㅋㅋ그래서 지금도 싫어요ㅜㅜ근데 이 책은 읽고싶어요^^

blanca 2024-01-02 19:35   좋아요 1 | URL
저는 바흐를 치면서 난 안되는구나, 이만 접자, 필이 딱 왔어요. ㅋㅋ 피아니스트들 보니 왼손 타건 힘이 장난이 아니더라고요. 평범한 저 같은 사람과의 경계가 딱 드러나는 게 왼손의 힘인 것 같아요. 바흐인벤션 집어 던지고 제 피아노 교습은 끝났던 기억이 나네요. ^^ 아, 이 책 완전 강추드립니다.

hnine 2024-01-02 18: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릴 때 바흐를 재미있어 하며 친 기억 가지고 있는 사람 있을까요? 바흐 인벤션에 이어 3성, 4성, 조곡...
어른이 되어서도 잘 모르겠더니, 바흐 음악은 다른 작곡가의 음악과 다른 차원에서 사람 마음을 끌어당기는 것 느낀 날이 있었습니다.
이 책 읽어보고 싶어요.

blanca 2024-01-02 19:36   좋아요 0 | URL
아, 이 작가가 정확히 그 지점을 간파했더라고요. 대충이 통하지 않는 지점에 바흐가 있다는...너무 좋아서 소장하기로 했어요. 퓰리처상 타는 작가는 사적 에세이도 공적으로 승화시키는 지점을 기가 막히게 아는 것 같아요. 정말 문장이 말도 못하게 탁월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