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3
프란츠 카프카 지음, 권혁준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SRT와 KTX를 구별하지 못했다. 당연히 열차가 지상으로 달릴 것이라 여기고 앉았는데 전광석화처럼 지하로 통과하면서 이따금씩 요동치는 느낌과 번쩍이는 불빛 등에 당황했다. 두근거리는 심장으로 카프카의 <소송>을 펴들었다. <소송>과 시속 300킬로미터의 고속열차는 이제 뇌리에 깊이 남을 것이다. 둘 다 인생의 거대 은유로.


첫 장부터 '체포'로 출발한다. 은행의 간부로 근무하는 요제프 K는 서른 살 생일에 영문도 모르는 채로 체포된다. <소송>은 그가 이 소송에서 자신을 소명하고 변호하기 위해 1년 간 법원을 찾아다니며 변호사와 화가, 신부 등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과정이 허무하게 처형으로 마무리지어지는 이야기다. 끝까지 그는 누가 대체 왜 자신에게 소송을 했는지 그 의문을 해소하지 못한다. 당연히 자신이 무죄라 확신하지만 "한 번도 보지 못한 판사", "아직 이르지 못한 상급 법원"은 끝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카프카는 무수한 질문들을 제기하지만 그 질문에 대한 그 어떤 답도 주지 않는다. 그런데 그 모호함이 가지는 기이한 매력이 이 한없이 안개 속 미로를 헤매는 것만 같은 불친절한 이야기의 동력 그 자체다. 대체 이 동력은 어디서 나왔을까.


요제프 K의 비극은 이런 절체절명의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직장에서의 페르소나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객 상담을 해야 하고 심지어 이탈리아 고객의 관광에도 동행해야 한다. 자신이 이유도 알 수 없는 체포와 소송을 당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상의 난제들을 해결하고 자본주의의 부속품으로서의 역할을 유지해야만 하는 그 질곡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우리의 모습과 놀랄 정도로 닮아 있다. 죽고 사는 문제 앞에서도 먹고 사는 문제를 방기할 수 없는 게 생존의 비극이다. 그러면서 정작 중요한 질문들과 시급한 일들은 주변부로 밀려난다. 카프카는 이 지점의 묘한 아이러니를 포착한 것이다. 요제프 K의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려 드는 주변인들의 모습의 묘사는 다분히 희극적이다. 내가 쓰러지면 그런 나를 짓밟으려는 무리들. 그 무리들 앞에서 어떻게든 나의 정상성을 연기해야 하는 압박감. 거대한 사회 체제의 부속품으로 기능하는 우리 인간들이 가지는 고뇌의 상황이다.



소송이란 무엇인가



요제프 K는 이 소송이 무결한 자신에게 제기된 불합리한 것으로 바로잡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그런 그의 기대를 일거에 깨뜨리는 이 일에 도움을 주겠다는 화가의 말은 언뜻 모순처럼 보이면서 인간 실존의 비극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즉 그는 우리 인간이 바라는 석방이 우리의 삶 안에서 불가능함을 인지하고 있다. 우리 인간의 존재 자체가 무죄가 될 수 없으므로 "외견상의 무죄 판결", "판결 지연" 등의 미봉책으로 그 심판을 유예하는 것이지 결코 소송 그 자체에서 해방될 수는 없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 '소송'은 결국 인간의 실존의 한계, 필멸자로서의 숙명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평온한 일상이 영원할 수 없다. 생로병사의 기본 전제 안에 갇혀 있는 우리의 실존은 그 자체로 유죄이기 때문이다. 그 어떤 한계, 공허함에서 우리는 어떤 순간이든 완벽하게 자유로울 수 없고 카프카는 그것을 직시하지 않고는 우리가 삶을 영위할 수 없음을 요제프 K의 소송으로 보여주고 있다. 카프카의 인식은 자의적인 것도 개인적인 것도 아니다. 그 보편에서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기에 요제프 K가 욕설을 하며 처형 당하는 장면에서는 몸이 떨리는 것이다. 우리도 결국 그런 최후를 맞게 될 것이라는 예언이 카프카의 마침표다.


<소송>은 우리가 일상의 지엽적인 문제들로 괴로움을 느낄 때 우리가 정작 중시해야 하는 것이 뭔지에 대한 아픈 각성의 순간을 줄 수 있는 이야기다.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난 것으로 이미 지리멸렬한 소송의 피고가 된 것이다. 그것은 우리 인간이 만든 체제가 될 수도 있고 가치 규범일 수 있다. 연약한 육체에 갇혀 늙고 병들어 죽는다는 기본 명제가 될 수도 있다. 우리는 끊임없이 그것들과 마찰하고 때로 복종하고 종종 반역을 꾀할 것이다. 의료 기술의 발달, 다른 유흥거리들로 잠시 눌러 놓을 수도 있다. 그러다 대체 누가 왜 어떻게 그 소송을 제기했는지 알지 못한 채로 결국 죽게 될 것이다. 이 비관적인 숙명 속에 인간이 지금 여기에서 할 수 있는 일, 사랑할 수 있는 것, 누릴 수 있는 것들을 한다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일 것이다. 염세적인 세계관이 절망으로 가지 않는 유일한 출구에 대한 이야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02-07 20: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blanca 2023-02-08 10:25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