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가 맞았다. 사십대는 골짜기 같은 나이라고 했던 말. 젊던 부모님은 늙어 약해지고 책임은 넘친다. 나보다 나이가 많지만 너무 많지는 않은 그가 하는 나이 먹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는 살게 됐다. 그의 이야기 대부분이 맞다는 생각이 들면서. 그가 이야기하는 청춘, 중년, 그리고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아마 노년에 대한 이야기도. 말로 할 수 있다면 그건 괜찮다는 이야기다.
특히 그의 스무 살에 대한 이야기, 그 스무 살을 지나 서른다섯이 된 이야기는 내가 막연하게 생각했지만 말로 할 수 없었던 그 복잡한 감정의 결을 시적 언어로 형상화해서 두고두고 기억에 남았다. 스물에 서른을 꿈꾸는 일은 쉽지 않다. 더더군다나 오십은. 작가는 코로나 시국에 청춘과는 멀어 보이는 오십대가 됐다. 그리고 이십 년 전에 썼던 이 두 책들을 다시 쓰게 된다. 문장을 다듬고 빼고 합치고 더했다. 자신의 과거와 다시 만난다. 그리고 독자는 그걸 읽는다. 작가의 과거뿐 아니라 그 과거를 읽었던 나의 과거와 재회하는 기분은 특별하다. 나는 과거의 나를 다시 만난다. 김연수가 가교가 되어.
김연수가 쓴 <청춘의 문장들>을 분명 몇 번이나 읽은 것 같은데 작가가 다시 쓴 <청춘의 문장들>은 다른 책인 것처럼 느껴졌다. 그것은 아무래도 이제 쉰을 넘긴 작가가 추억하는 이십대, 삼십대의 이야기들의 톤이 미묘하게 수정되거나 달라졌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내가 삼십대에서 사십대로 넘어온 것도 큰 영향을 끼친 것 같다. 이렇게 나이듦은 읽기를 변화시킨다. 다시 읽기의 맛은 이런 것일 테다. 똑같은 이야기도 다르게 들린다. 한정 없이 뻗어 있을 것만 같은 인생의 전망이 터널화되면서 청춘의 문장들은 더 아름답고 애잔하게 느껴진다. 유치하다거나 가소롭기는커녕 더 심오하고 확장되는 묘한 경험이다. 그 치기가 그 자기 중심성이 귀엽다. 다 한때니까. 그 농밀함이 부럽다. 이제 다신 경험할 수 없다. 그 감정의 깊이, 미숙함, 돌연함을.
그리고 저는 깨달았습니다. 앞으로 겪을 모든 일들을 스무 살 무렵에 다 겪었다는 사실을. 그 모든 사람을 스무 살 무렵에 다 만났으며 그 모든 길을 스무 살 무렵에 다 걸었습니다. 그 모든 기쁨을, 그 모든 슬픔을, 그 모든 환희를, 그 모든 외로움을 스무 살 무렵에.
-<청춘의 문장들> 김연수
다시 스무 살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 다만 그 새털 같이 한정 없어 보이던 날들 중 단 하루를 스무 살의 나를 위로하며 보낼 또 다른 중년의 나로 파견 보내고 싶다. 매일 울고 매일 고통스러워하던 그 스무 살의 아직 덜 큰 십대 소녀에게 섣불리 어른 흉내를 내지 말라고 시간이 너를 성장 시킬 것이기에 너는 그토록 빨리 어른이 되려고 발버둥 치지 않아도 된다고 얘기해주고 싶다. 스무 살은 스무 살로 사는 것이 마땅하다고. 넌 미래에 이 시절의 너를 미친 듯이 그리워하게 될 거라고 말해주고 싶다.
다 괜찮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