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적으로 피아노를 그만두게 된 계기는 바흐 때문이다. 체르니 50번에 들어가며 바하 인벤션을 치게 됐고 내가 대충 뭉개버리던 왼손이 오른손과 동등한 선율을 구사해야 하는 그 엄격함의 요구 앞에서 나의 빈한한 실력은 들통나고 말았다. 아무리 연습해도 왼손 성부가 제대로 안 됐다. 나는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다. 억지로 허덕이며 거기까지 끌고 가려던 엄마가 드디어 져줬다. 나는 피아니스트가 될 수 없었다. 드디어 인정해야 할 순간이 왔다. 


그러나 굴드처럼 바흐를 연주하려면 언제나 모든 음을 완벽하게 쳐야 했다. 케빈 버재너가 말했듯이 "처음부터 끝까지 무자비하게 드러나는" 음악인 것이다. "바흐에서는 어떤 것도 피하거나 꾸며낼 수 없다."

-케이티 해프너 <굴드의 피아노>


이 대목에서 무릎을 쳤다. 나는 바흐 앞에서 도저히 더는 꾸며낼 수 없었다. 그 앞에서는 백주 대낮에 숨기려던 모든 것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꾸미거나 눙치던 것들을 어쩔 수 없이 고백해야 했다. 모든 음을 완벽하게 치지 않으면 반드시 그 불협화음이 드러났다. 무자비하게. 
















굴드의 바흐를 들으면 그래서 전율한다. 그의 왼손은 오른손과 동등하거나 더 현란하고 정확하게 바흐의 명령을 수행한다. 오른손잡이들은 왼손이 오른손의 부수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왼손의 선율은 오른손의 보조 역할을 하도록 하는 대부분의 악보에 충실히 복무한다. 이것을 전복시킨 바흐의 음악 앞에서 약한 왼손은 도저히 버텨내지 못하고 항복을 선언한다. 대부분이 그렇다. 왼손이 오른손을 지시하고 따르라 할 때 그건 그 행위를 위장하거나 덮어버리려는 욕망과 싸우게 된다. 어렵고 힘들기 때문이다. 내가 피아노를 결국 그만두게 된 지점에서의 악몽이 이 책을 읽으며 되살아났지만 동시에 그건 깨끗한 포기이기도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 되는 걸 억지로 밀고 나갔다면...나는 충분히 불행했을 것이다. 평범한 내가 그 지점을 돌파하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저자 케이티 해프너의 굴드에 대한 이야기는 여느 평전과는 다른 독특한 차별점을 내세운다. 그것은 굴드 자체가 중심이 아니라 굴드가 마치 연인처럼 사랑하고 데리고 다녔던 스타인웨이 CD 318을 통과하는 서사들이다. 그것을 발견하기까지 그리고 그것과 사랑에 빠질 때까지 마침내 파괴된 그것을 단념하기까지의 여정은 굴드의 피아니스트로서의 과업과 삶의 조수간만의 리듬과 정확히 일치한다. 그는 자신의 바흐를 온전히 호흡하고 받아내 주었던 이 물건의 일대기와 그 자신의 그것을 거의 동일시했다. 한창 전성기 때 스타인웨이 318로 작업했던 레코딩을 오십을 목전에 두고 다시 시도했다는 건 그 자신의 삶의 코다를 향한 흐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어떤 전조를 읽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의 죽음은 실제 그것을 유언처럼 남기고 뒤따른다. 


물론 비단 318에 대한 이야기만은 아니다. 그것을 조율하며 굴드와 연주회, 레코딩에 동행했던 충직한 조율사들, 테그니션들, 심지어 그의 숨겨진 연인에 대한 이야기까지 이 기이한 강박증을 가진 기인 피아니스트의 바흐 절창을 둘러싼 이야기들은 저자의 충실한 자료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눈앞에서 보이는 듯 복원된다. 어딘가에 떨어져 망가져 버린 318을 복원하기 위하여 여름 더위에 외투를 입고 뒷자석에는 피아노의 거대한 부품을 싣고 캐나다와 미국의 국경을 넘는 굴드의 여정의 묘사는 그가 얼마나 이 음악에 이 피아노에 진심이었는지를 미루어 짐작하게 하는 풍경이다. 어떤 절망 앞에서 지지 않는 희망과 이상을 가지고 순간순간에 모든 것을 던졌던 이 예술가의 처절한 삶은 그의 완벽하리만치 엄격한 바흐의 연주 앞에서 일종의 신기를 보여준다. 그의 바흐를 듣는 일은 이미 죽어 이 세상에 없는 그의 영을 불러내는 일처럼 신비롭고 감동적인 시간을 경험하는 것과 같다. 


앨범이 발매되고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굴드는 죽었다. 318은 비로소 제대로 복원되었고 많은 그의 후배들이 그것을 연주한다. 생전에는 망가진 상태로 이별했던 그것이 그의 사후 부활했다는 대목은 참으로 의미심장하다. 그는 죽음으로써 그의 연주를 불멸로 만들어버렸다. 우리는 여전히 굴드의 바흐를 듣고 그가 그렇게나 싫어했던 연주회에서 직접 듣는 것 못지 않게 생생하게 그의 영혼과 예술적인 완성도를 향해 가는 노력과 열정을 느끼며 감동한다. 어쩌면 우리의 생과 필멸을 뛰어넘는 그 이상의 것이 여전히 끈질기게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그의 연주를 들으며 가지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06-20 23: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블랑카님 바흐 때문에 피아노를 포기 하셨군요
제 친구들은 쇼팽에서 넘어졌고
러시아 작품으로 넘어가면서
울면서 그만둔 ㅎㅎㅎ

전 피아노 의자 앞에서 몇시간 씩 두드리는 걸 참지 못하지만
바흐 만큼은 좋아해서
한 번 꽂힌 작품 일년 내내 반복 연주 할 수 있습니다(주변인들은 싫어함 ㅎㅎㅎ)

굴드가 연주하는 베토벤도 참 좋아요 ^ㅅ^

blanca 2022-06-22 13:58   좋아요 2 | URL
왼손을 오른손처럼 쓸 수 없어서 포기요. 하지만 여전히 애증의 음악가이고 제일 좋아하는 작곡가입니다. 오, 스캇님 여전히 피아노 치시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