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케이크와 맥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4
서머싯 몸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21년 9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을 안다고 과연 말할 수 있을까? 한평생 자기 자신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죽는 건지도 모른다. 내가 아는 그와 당신이 아는 그는 백팔십도 다를 수도 있다. 관대하고 정의로운 그가 때로는 무례하고 치졸한 인간의 면면을 다른 사람에게 보였을지도 모른다. 사람은 그 정도로 다채롭고 복합적이고 신비로운 존재다. 그 사람 어때? 라고 묻는 일은 호기롭고 이미 거짓과 가식을 예비하는 일인지도 모른다. 아무도 그 사람에 대해 제대로 얘기해 줄 수 없다. 오직 나에게 유난히 부각된 한 면만을,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몇몇의 장면만을 조각조각 전달할 수 있을 뿐이다.
<케이크와 맥주>에는 그런 이야기가 나온다. 모두가 칭송하는 노작가 에드워드 드리필드의 전기를 쓰게 된 앨로이는 동료 작가인 나 어셴든에게 드리필드의 에피소드를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그가 유명한 작가가 되기 전 첫번째 아내 로지와 블랙스터블에 살던 시절을 나는 알고 있다. 나는 숙부, 숙모와 사는 십대 소년이었고 우아한 것과는 거리가 먼 그 부부와 어울려 자전거를 배우고 카드놀이를 하며 그들과 어울린 시간들이 있었다. 그 우정은 기이하고 은밀한 나의 성장통의 일부였다. 그 부부는 불미스러운 일에 휘말려 블랙스터블을 도망치다시피 하듯 떠나고 나는 의대생이 되어 다시 그들과 재회한다. 그 재회는 드리필드의 어린 아내 로지와의 어셴든의 애정 행각으로 이어진다. 유명한 작가의 그럴듯한 부인이 되기엔 로지는 너무나 자유분방했다. 로지는 남편을 두고 뭇남자들과 어울리는 그녀를 질투하는 어셴든에게
기회가 있을 때 인생을 즐겨야지. 어차피 100년 후엔 우리 모두 죽을 텐데 뭐가 그리 심각해? 할 수 있을 때 우리 좋은 시간 보내자.
-pp.224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녀는 남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인생을 즐긴다. 자신을 원하는 남자들에게 자신이 줄 수 있는 것들을 기꺼이 준다. 누구는 그녀를 천박하다고 하고 어떤 이들은 은빛이 나는 여자라고도 한다. 로지는 드리필드에게서도 도망친다. 그녀는 위대한 작가의 아내로 남는 대신 유부남과 다시 미국으로 도망가는 추문을 남긴다. 어셴든은 늙고 살찐 로지와 재회하게 되지만 그녀가 미처 하지 못한 이야기를 들음으로써 그녀가 남들이 얘기하는 저속하고 천박한 삶이 아니라 딸을 잃은 상처와 편견을 딛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제대로 살아낸 사람임을 깨닫는다.
서머싯 몸이 <케이크와 맥주>를 통해 드리필드의 신화를 해체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이들이 이 드리필드가 연상하는 작가가 토마스 하디라고 추측했다. 불멸의 신화가 되어버린 작가가 사실 가장 좋아했던 일은 소박한 펍에서 노동자들과 맥주를 마시며 이런저런 사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것이었다는 것, 자유분방한 어린 아내가 뭇남자들과 바람을 펴도 눈감아줬던 무능력한 남편이 아니라 어떤 상실을 치유하는 데 저마다의 방식이 있다는 것과 그것을 존중했다는 것은 그 작가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의 이해였다는 것을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인지도 모른다. <케이크와 맥주>는 폄하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환희로서의 가치, 현재 우리가 누리는 것들에 대한 그 찰나적 경탄 또한 인생의 한 측면임을 간과하지 말라는 이야기처럼 나에게는 들렸다. 이것은 도덕적인 교훈이나 훈계와는 거리가 있는 이야기다.
이제 곧 유명해지겠지만 또 헤어질 한 중년의 부부에게서 자전거를 배워 함께 날듯이 바람을 가르며 잊기 힘든 환희를 느꼈던 소년의 시간이 남는다. 어셴든에게 남은 드리필드의 이야기는 그러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가십이 될 수 없는 찬란한 추억이다. 그러한 이야기는 도저히 머리로 이해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점이 서머싯 몸이 결국 하고 싶었던 이야기처럼 들린다. 어셴든은 서머싯 몸 자체다. 우리는 그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케이크와 맥주>를 읽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