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까지만 해도 소비에 큰 죄책감이 없었던 것 같다. 그렇다고 흥청망청 과소비를 했다는 건 아니고 책을 사고 무심코 테이크아웃 커피를 일회용컵에 담아 사먹는 일, 여러 물품들을 사고 추가로 쇼핑봉투를 받는 일, 음식물쓰레기를 새 비닐에 담아 버리는 행위 등을 종종 했다. 그러다 어떤 대단한 계기가 있었던 건 아니고 그냥 점차 이런 행위들에 수반되는 설명하기 힘든 어떤 죄책감이 불현듯 시작됐다. 무언가 내 일상이 지구에 쓰레기를 보태는 일에 기여하고 있다는 강력한 실감이 들며 어떻게든 그 과정에서 의식적으로 그러한 것들을 줄이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강박 같은 것이 따라왔다. 내가 욕망하고 소비하는 것들로만 일상이 채워진다면 나의 존재 자체가 이 지구에 결론적으로 해악을 끼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무엇보다 나의 아이들, 후손들이 우리가 당연히 누렸던 자연의 공기, 물, 풀, 나무, 자유를 우리가 단지 존재했던 것만으로 오염되고 훼손되고 심지어 박탈된 채 경험해야 한다면 상상만으로도 아찔할 정도로 미안함을 느끼게 된다.


















이 책의 저자 로빈 월 키머러는 아메리카 원주민 포타와토미족 출신의 식물생태학자이다. 향모는 그들의 언어로 윙가슈크라고 부르며 어머니 대지님의 머리카락이라는 뜻을 지닌 식물이다. "향모를 땋으며"라는 제목은 과학과 영성과 이야기가 서로 얽히는 과정의 은유인 셈이다. 그들 사이에 구비전승되는 창조 이야기로부터 출발하는 이야기는 그녀의 어린 시절 부모님으로부터 대지와 자연에 감사를 표하는 것으로 시작했던 아침 제의의 이야기, 이웃 할머니의 잃어버린 고향을 찾아가 키머러의 어머니와 함께 성탄절 파티를 열어줬던 추억, 의대생들을 데리고 떠났던 학술여행에서 나눈 교감, 점박이도룡농 길가 구출 작전 등 자연과 호혜적으로 주고받는 감사의 여정으로 이어진다. 무엇보다 그녀의 "유정성의 문법"은 부족의 언어와 세계관의 렌즈를 통과한 자연이 어떻게 기존의 경직되고 진부한 명명의 틀을 깨고 빛나는 실재에 가닿아 우리의 딱딱한 가슴을 녹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범이다. 이는 무엇보다 우리 내면의 어두운 심연과 자본주의 사회에서 방치되고 조장되는 욕망의 폭주 자체에 대한 진지하고 깊이 있는 천착에서 비롯된 혜안일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그녀의 언어는 공허하지 않고 사변적이지 않다. 


옛 가르침들은 모든 사람에게 윈디고적 본성이 있으며-우리가 스스로의 탐욕스러운 성격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간파했다. 스튜어트 킹 같은 아니시나베 연장자들이 우리에게 '스스로를 이해하려면 늘 두 얼굴-삶의 밝은 측면과 어두운 측면-을 염두에 두라'라고 상기키신 것은 이 때문이다. 어둠을 직시하고 그 힘을 인정하되 양분을 주지 말 것.

-pp.447 로빈 월 키머러 <향모를 땋으며> 



우리의 생존이 욕망을 떠나 가능할 수 있을까? 그 욕망이 항상 적절하게 이성적으로 제어될 수 있을까? 키머러는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녀의 부족조차 우리 인간에게 어두운 본성이 있음을 그리고 그것을 완벽하게 제어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에 대한 예리한 자각이 있다. 그러나 그것에 전적으로 함몰되고 집착할 때의 그 추한 모습을 상상할 수 있고 우리가 훼손하고 남용해도 여전히 우리를 맞아주는 대지와 그 대지에 흐르는 물과 공기와 하늘과 생명들을 존중하고 어떤 미안함과 고마움을 잊지 않을 때 거기에서부터 우리는 달라질 수 있다고 그녀는 믿는다. 그리고 그 믿음은 독자와 공명한다.


쓰레기를 버리러 나갈 때마다 우리 각자의 생존이 배출해내는 그 쓰레기들이 모여 산을 이루는 모습에 가슴이 무거워진다. 키머러의 어머니는 늘 "올 때보다 갈 때 더 좋은 곳이 되게 하렴."이라고 그녀에게 말하곤 했다. 과연 우리는 그럴 수 있을까. 영원한 숙제이지만 우리가 발을 딛고 숨쉬고 먹고 노래할 수 있게 해 준 대지에게 해 줄 수 있는 최소한의 배려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 유의미하다고 믿고 싶다. 하나를 더 가지고 싶을 때 무심코 하나를 버리게 될 때 잠시 멈추어서 내 앞과 뒤를 돌아보려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1-05-19 22: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요즘 쓰레기 문제를 보면 안타깝더라구요. 특히 코로나 때문에 그런지 배달음식에 플라스틱이 너무 많더라구요. 가능하면 재활용품 잘 처리하고 플라스틱은 씻어서 버리려고 하고 장바구니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도 정책적으로 어떻게 조치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ㅜㅜ

blanca 2021-05-20 12:33   좋아요 1 | URL
저도 그래요. 특히 배달음식. 이루 말할 수 없는 죄책감이 들면서도 또 다 해먹을 수도 식당을 자유롭게 다닐 수도 없으니까요. 요새 자꾸 지구의 수명이 유한하다,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코로나도 그렇고 인간이 무한정 쓰고 한계 없이 누릴 수 있다는 환각이 무참이 깨어지는 것 같습니다. 이제 무언가 확 다른 시각, 자세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