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94
마쓰이에 마사시 지음, 송태욱 옮김 / 비채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쓰이에 마사시의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가 준 감동의 여운이 길었다. 지금도 작가가 묘사한 건축 사무소의 아침에 모두가 연필을 깎는 정경이 눈앞에 생생하게 그려진다. 무엇보다 그가 그려낸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한 사람의 성장과 노쇠의 여정은 마쓰이에 마사시만 표현할 수 있는 유려한 흐름으로 각인된다. 그만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색깔의 이야기다.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한동안 가슴이 울렁거렸다. 이제 인생의 능선을 하나 넘는 중년의 길에서 소에지마 하지메가 귀향하는 삶의 이야기에 날것의 감정이 덮쳐와 거리두기가 쉽지 않아 때로 멈추어야 했다. 특히 누나 아유미의 죽음의 대목에선 작년의 죽음들이 떠올라 괴로웠다. 그러나 삶처럼 읽는 일도 결국 그러한 것들을 경험하고 넘어서야 하는 과제다. 


이야기는 훗카이도 섬의 에다루라는 가상의 마을을 배경으로 소에지마 가족의 삼대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중심 화자는 하지메와 누나 아유미, 고모 가즈에, 도모요, 에미코, 할머니 요네 등 수시로 변동하며 똑같은 일도 각자의 시점에서 재해석되어 서술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족의 반려견 에스, 지로, 하루의 이야기가 있다. 동물은 생과 사와 멸을 의식하지 않는다. 그저 사람들의 곁에서 충직하게 그 순환의 주기에 복종할 뿐이다. 그러나 그들이 주는 위로와 교감은 말로 형언하기 어려울 만큼 크고 깊다.


서두의 하지메를 따라다니는 '소실점'은 중요한 상징이다. 이것은 결국 우리 인간이 태어나서 자라 돌아가는 그 죽음의 은유로 작용하게 된다. 하지메는 누나 아유미와 소년 시절 친한 남매가 아니었다. 관심사도 성향도 판이하게 달라 공감대가 없었다. 그러나 천문학을 공부했던 누나가 삼십 대에 급작스럽게 암투병을 하게 되고 죽기까지 가장 가까이에서 누나의 죽음으로 향한 여정에 동행하게 된다. 그것은 하지메도 결국 따라갈 길이라는 강한 인식과 맞물려 있다. 


작가는 하지메의 할머니 요네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돕는 조산사로서 일했던 과거를 결말부에 배치함으로써 결국 우리 인간이 나이들고 늙고 병들고 죽으며 소실점으로 축소되는 여정을 또 다른 의미에서 확장하고 있다. 그것은 하나의 거대한 차원에서의 순환이 아닐까. 누군가는 죽고 다시 누군가는 또 태어나며 다시 저마다의 소실점을 지니게 된다. 우리는 각자 유한한 삶과 그 삶의 종결부를 함께 선사 받는다. 그것은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시작된다. 결혼하지 않은 고모들, 그 시누이들과 옆집에 살며 개인적인 행복이라곤 누릴 수 없었던 어머니, 꿈을 펼치기도 전에 죽어버린 누나, 그 자신도 대단한 성취를 이루지 못하고 결혼은 했지만 아이가 없는 삶이다. 마침내 돌아온 고향에는 치매에 걸린 고모들, 그런 주변 상황에 무관심한 늙은 아버지, 무기력한 어머니만 남아 있다. 그러나 마쓰이에 마사시는 하지메가 절망하거나 무기력하게 무너지는 모습을 그리려 하지 않는다. 여기에 그만의 미덕이 있다. 소에지마 가는 어떤 의미에서 세속적인 의미의 자손을 남기지 못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눈으로 볼 때의 이야기다. 소에지마 가의 할머니 요네는 수많은 생의 탄생의 광장에서 잊지 못할 역할을 했다.


"자, 잘 왔어. 넌, 잘 온 거야. 봐, 자, 그래 편하게 있어. 자, 보라고. 봐, 태어난 거야. 여자아이구나, 축하해. 수고했어. 아주 잘 왔어."

-마쓰이에 마사시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이 얘기는 할머니 요네가 손수 받은 손녀 아유미가 태어나자 한 환영의 인사다. 아유미가 채 사십 년을 살지 못하고 죽을 것이라도 생이 세상으로 분출되는 것은 축하받아 마땅한 일이라는 믿음이 느껴진다. 그러니 이 이야기는 아유미의 죽음 전이 아니라 아유미의 죽음 뒤에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동생 하지메는 그것을 온몸으로 수긍한다.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그래서 집에서 가족에게서 세상을 향해 뻗어나가는 생의 경로는 애닯도록 아름답다. 이제는 노년에 접어들었을 작가가 깨달은 삶의 비의는 소에지마의 이야기로 형형하게 형상화됐다. 그가 이야기하는 삶에 새기는 시간의 각인의 지형도는 여전히 이토록  감동적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4-12 11:0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블랑카님 드디어 이책 읽으셨군요, 책의 원제는 ‘태양의 개(光 の 犬)빛의 개)‘인데 한국어 제목이 훨씬 더 잘 와닿는것 갔습니다.

blanca 2021-04-12 11:02   좋아요 0 | URL
제목을 잘 지은 것 같아요. 그래도 원제목 일본어가 예뻐서 궁금했는데 그런 뜻이었군요!

2021-04-12 19: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13 09:5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