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도시 이야기
최정화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질병, 전염병은 인간 관계의 역학마저 변질시킨다. 사소한 접촉, 마스크의 착용 여부, 모임의 취소, 강행을 둘러싸고 코로나는 사람 간의 교류의 성격까지 변화시키기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하며 담소를 나누는 풍경이 이제는 민폐이자 나라의 방역에 협조하지 않는 풍경으로 비친다. 몇 개월 안이면 바이러스가 사라지거나 적어도 치료약이나 백신의 개발로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 될 거라 여겼던 기대들은 이제 벌써 육개월이 훌쩍 넘어가 학습된 무기력으로 치닫고 있다. 사람을 믿고 사람과 접촉하고 맛있는 것들을 나누던 시간들이 점점 낯설게 멀게 느껴진다. 


최정화의 <흰 도시 이야기>는 코로나 이전에 나온 이야기다. 그런데 지금 이 시대를 마치 예고하는 것 같은 소설이다. 피부가 하얗게 말라붙는 '다기조'라는 전염병에 점령된 L시의 공무원 이동휘의 이야기는 이 전염병이 어떻게 한 사람의 삶을 유린하는지에 대한 탐사다. 아이를 잃고 세상에 대한 감각을 잃고 사람 간의 접촉과 애정을 잃어버린다. 


"새로운 병이 나타났다는 것은 새 시대가 출현했다는 것과 한 뜻이요."

-p.36


카뮈의 <페스트>에서 봉쇄되었던 도시 오랑의 시민들이 느꼈던 절망은 L시의 그것과도 닮았다. 사람들은 점차 희망이나 기대를 잃어버리고 전염병으로 무너지는 삶에 적응하게 된다. 무감각해지고 무심해진다. 그 병에 싸워 이겨보려는 의지조차 없다. 그런 의지는 반역적이고 반동으로 치부되어 모래마을이라는 대치되는 공간을 만들어낸다. 이동휘는 그 두 공간의 경계에 서 있다. 


그러니까 나는 이 도시의 운명과는 별개의 고유한 개인이 존재한다-바로 나 이동휘 말이다!-는 허황된 생각을 품고 있었던 것이다. L시야 어떻게 되든 내가 지킬 수 있는 고유의 부분이 있을 거라 생각했다.

-p.112


<흰 도시 이야기>는 이동휘가 이러한 개인의 고유성을 도시의 운명에 맞서 과연 지켜낼 수 있는가에 대한 하나의 거대한 질문이다. 그는 L시에서 나와 모래마을로 가고 모래마을에서는 또  L시를 그리워하는 그 복잡한 모순 안에서 방황하지만 끝내 패배하지는 않는다. 잃어버린 아이와 잃어버린 기억들을 들쑤시는 그 고통과 연약함을 회복하려 애쓴다. 고통스러운 진실보다는 편안한 거짓과 허구를 택하는 다수 가운데에서 이탈한다는 것은 보통의 용기로 되는 일은 아닐 것이다. 이 동인을 아이로 잡고 있지만 과연 이동휘라는 인물의 성향과 일관성이 있는지가 좀 모호하다. 


왜 어떤 사람들은 싸우고 어떤 사람들은 굴복하고 어떤 사람들은 견디는가. 또 어떤 사람들은 왜, 이 삶을 견디지 못하는가. -p.245


우리가 잘 견뎌내고 다시 예전의 그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이 책에도 그러한 결말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아무것도 예상할 수 없고 희망할 수 없는 나날들을 일상으로 꾸역꾸역 이어나가는야  하는 것이 모두에게 힘겹다. 우리는 견뎌야 할 도리밖에 없는 것 같다. KF94를 끼고 언덕을 오르듯이 그렇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08-29 15: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코로나는 우리 모두 처음 겪는 일이라는 것.
말하자면 우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거지요.
다시는 마스크를 벗지 못하고 살까 봐 진지하게 생각하면 심각해져요.
모든 걸 잊는 잠 자는 밤이 요즘은 좋으네요. ^^

blanca 2020-08-30 09:00   좋아요 1 | URL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끝도 없는 것 같아요. 결국 마스크를 벗는 날이 올 거라는 걸 믿고 어려운 시간들을 잘 통과해나가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