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 하라리의 르네상스 전쟁 회고록 - 전쟁, 역사 그리고 나, 1450~1600
유발 하라리 지음, 김승욱 옮김, 박용진 감수 / 김영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대중적인 저서는 아니다.  유발 하라리의 전공은 의외로 중세 전쟁사다. 이 책은 그의 박사 논문이다. 그럼에도 그의 글쓰기의 장점인 논리적이고 간명한 문체, 방대한 연구 자료의 철저한 고증에 기반한 체계적인 정리 집약은 이 저서를 그 누가 읽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쉽지 않은 주제를 이해하기 쉽게 분석, 설명하는 그의 능력이 경탄스럽다. 더불어 르네상스 시대의 전사들의 회고록과 20세기 군인들의 회고록을 적절히 대조 비교 분석한 시도는 그 차이점을 통하여 시대를 따라 변전하는 인간들의 의식 자체를 명쾌하게 드러나게 하여 이해를 돕는다. 큰 서사가 있는 것도 아니요, 어쩌면 현실과 동떨어진 소재와 주제를 다룬 글임에도 책을 놓지 못하게 만드는 긴장감과 몰입은 과연 유발 하라리가 가지는 학자로서의 깊이와 작가로서의 글쓰기의 힘을 여실히 보여준다.



르네상스 시대의 그들, 오늘의 우리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르네상스 전쟁 회고록>은 르네상스 시대 전사 귀족 계급의 회고록을 기반으로 그들의 세계관을 추정하는 여정이다. 그들에게 개체성과 자아는 중세의 암흑을 뚫고 나오지 못했다. 아니, 오히려 의도적으로 방기되었다. 전사로서의 정체성은 한 개인으로서의 존재감과 맞바꿀 수 없었다. 마치 기계의 부속품처럼 그들은 전장의 전사로서 기능했고 무훈은 그들의 가치를 규정지었다. 가족의 상실, 평민 병사의 죽음, 우정, 사랑에 대한 언급은 없다. 오직 전장에서 세운 무훈, 그리고 그 무훈이 가져올 명예, 명예가 가져올 역사에서의 불멸이 관심사였다. 전쟁은 곧 그들의 실체가 있는 삶 그 자체였다. 경험적 진실 대신 표면적 실체만 있을 뿐이었다. 승리한 전쟁, 전장에서 세운 공적은 곧 삶의 성취와 다름 아니었다. 그리고 그것은 곧 역사였다. 


그렇다면 르네상스 시대 군인회고록에서 시간은 검은 강물과 흡사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강의 수면은 기억할 만한 사실과 그렇지 않은 사실을 가르는 경계선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둡고 깊은 강물 속을 떠다니며 평생을 보낸다. 그러다 회고록 저자들은 가끔 수면 위로 고개를 불쑥 내밀어 역사라는 빛 속으로 나온다. 삶은 이 역사의 빛 속에서 일어난 일들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p.299


그들에게 역사에 기록되는 것은 귀족 전사 계급들의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들뿐이었다. 나머지 계급의 사람들의 삶은 기억할 만한, 기록할 정도의 가치도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역사에 기록되는 것은 불멸의 이름을 남기는 일이자 최고의 명예였다. 그렇다면 그것에는 필연적으로 정치가 개입된 것이다. 가치 판단의 역학에 작용하는 힘이었다. 


역사적 현실의 경계선이 어디인가 하는 문제는 단순히 학문적인 질문이라기보다 정치적인 질문이며, 정치적인 의미가 잔뜩 포함되어 있다. 인간의 현실 중 어떤 부분이 역사적인지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지면, 특정한 부류의 사람, 사건, 의문 등이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해지고, 여기서 새로운 권리, 권력, 역할이 파생된다. 반면 사람이든 사물이든 역사적 현실에서 밀려나면 정치의 세계에서도 밀려난다.

p.311


귀족들의 정치는 상당 부분 폭력을 스스로 정당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유발 하라리의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는 오늘날 그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그 이해는 현실의 정치를 관통한다. 명예와 권력과 폭력은 자의적으로 결합하고 끈질기게 살아남아 힘을 행사한다. 그 틈바구니에서 그들이 그렇게도 외치는 실체적 진실은 정작 사라진다. 그것의 역사는 반복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9-08-25 18: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기 언행에 대해서 정당화하려 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죠. 문제는 주관적이라는 데에 있죠.

blanca 2019-08-26 13:38   좋아요 0 | URL
사람들은 흔히 대부분 그렇게 되는 것 같아요. 그걸 뛰어넘을 수 있는 이는 극소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