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전5권 세트 메피스토(Mephisto) 13
더글러스 애덤스 지음, 김선형 외 옮김 / 책세상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내가 이 책을 왜 봤을까? SF매니아도 아니고(매니아이기는 커녕 난 영화도 SF영화는 별로 안좋아한다.)...

다만 이 책이 재출간되었을 때 알라딘의 그 열광적이던 반응과 그리고 끝내주는 제목 때문이었을 것이다. 5권이나 되는 분량이 나를 망설이게 했지만 쉽게 읽히리라는 나의 성급한 판단이 이 책을 들게했다.

하지만 결론은 절대로 쉽게 안읽히더라.... 저자의 말도안되는 종횡무진한 우주적 농담을 따라가기에는 내 호흡이 너무 짧더군.... 이 책을 보기전에 주의할 것. 당신이 가지고 있는 어떤 과학적 지식도 버려라. 쓸데없이 과학지식을 가지고 이것저것 재볼려고 하다간 아마 평생이 걸려도 이 책을 다 못읽을 것이다. 왜냐고... 과학적 근거가 있는 소리는 이 책에 단 한줄도 없으니까... 다 황당한 농담일뿐이다. 그것이 너무 황당하고 시시껄렁해서 오히려 책장이 안넘어가는 이런 황당한 일이..

그럼에도 이 책이 보여주는 세계는 그리 낯설지 않다. 무대가 시간과 공간을 제 마음대로 넘나들지만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세계의 모델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라는 이 공간이다. 이 지구라는 공간이 얼마나 말도 안되고 웃기는 공간인지... 그 속에 살고있는 인간이란 존재들도 같이 말이다. 이 책은 바로 이 세계를 인간이라는 존재를 마음껏 비웃고 있다. 이런걸 영국식 농담이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경우에는 박장대소를 어떤 경우에는 실소를, 또 어떤 경우에는 도대체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하여튼 내가 아는 모든 웃음의 감정을 다 끼득거려 가면서 이 책을 봤다.

하지만 이 책의 기본적인 웃음은 '냉소'다. 그것도 지독한 냉소. 그는 인간성에 대한 지구의 미래에 대한 어떠한 희망도 얘기하지 않는다. 말도 안되는 이 지구라는 공간을 냉소하고 비웃고 있을 뿐이다. 처음에는 박장대소하면서 보다가 점점 더 책갈피가 넘어가지 않는 이유의 많은 부분이 이 냉소의 덕분일 것이다. "그래도 세상은 좀 나아지고 있는거야"라고 애써 자위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저자의 '냉소'는 참 힘겹다.

이 책을 쓴 저자는 행복할까? 이런 냉소뒤에 남는 것은 뭘까? 책의 마지막은 결론을 제시한다. 행복하지 않는 결론을....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5-08-19 0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아무 생각없이 낄낄거리고 읽어야 할 것 같은 책이에요. 가끔은 심각한 더글라스 애덤스이지만, 이 책에선 도저히 그의 철학을 찾을 수 없고, 그냥 낄낄거리면서 썼을것 같으니깐, 그러니깐 낄낄거리면서 읽어줘야 할 것 같은. 그러니깐. 좋다는 얘깁니다. 오디오북으로도 들었는데, 더글라스애덤스가 직접 읽어요. 오버스러운 니그니글한 목소리가 정말 압권입니다.

돌바람 2005-08-19 0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안 자고 뭐하세요? 이런 야심한 시각에 리뷰를 다 올리시고(바람돌이님 버전으로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시리즈가 번역된 지 벌써 10년이 지났잖아요. 그동안 우리는 백민석을 통해 비슷한 류의 작가들을 가깝게 접했고, 냉소와 조롱, 풍자는 더글라스 아담스의 통찰 방식인 듯 하여요. 저는 새와물고기판으로 나오다 중단된 3권까지 보았었는데, 책세상판은 좀 시간이 지나서도 읽고 싶어지면 읽으려구요.

바람돌이 2005-08-19 0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이드님/저도 낄낄거리면서 보다가 이게 4권쯤 되니까 도대체가 책장이 안넘어가더라구요. 바로 앞장에 뭘 읽었는지도 모르겠고... 근데 더 웃긴건 다시 돌아가서 알아보고 싶은 맘이 하나도 안생기는 거예요. 어차피 상관도 없을거고, 앞으로 남은 부분 읽는데 지장도 없을거고...그러면서 5권쯤 되니까 우울해지네요. 책의 내용이... 근데 가끔 알라딘에는 외국어가 되는 분들이 있더구만요. 하이드님처럼.... 이 책 보면서는 워낙에 작가가 말을 가지고 장난을 많이 친 것 같아서 영국문화에 대해서 좀 알고 영어로 읽으면 더 재밌겠다 싶은 생각이 들던데.... 하지만 전 불행히도 외국어 알레르기라는 불치병을 가지고 있어서요. 기냥 하이드님 같은 분들을 부러워만 할 뿐입니다. ^^
돌바람님/ 그냥 오늘은 좀 우울하고 성질도 나고 그런 날이어서 지금 혼자서 맥주들고 이러고 있습니다. 이 책은 중간에 읽다가 말았으면 저같으면 다시 안봐질 것 같애요. 근데 진짜로 돌바람님이나 저나 새벽에 오면 만나지는군요. 저는 앞으로 이 생활 겨우 한 10일 남았습니다. ^^

돌바람 2005-08-19 0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번주에 방학 끝. 담주부턴 죽었습니다. 일인 3역으로 변신합체를 반복해야 합니다. 윽, 그래서 기운이 떨어졌나, 저도 오늘 죽갔습니다. 깡통은 안 보이고, 나가긴 귀찮고~~

바람돌이 2005-08-19 0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잉~ 뭘하시는데 일인 3역이라뇨?

국경을넘어 2005-08-19 0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은 거의 은하철도 999같은데... 하긴 이것도 결국은 냉소 아닌가요? 정말 제목이 멋집니다.

바람돌이 2005-08-19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은하철도 999가 훨씬 심각하죠. 차라리 제 감성에는 은하철도 999가 더 맞는것 같아요. 심각성 바람돌이? 이건 좀 아닌것 같은데... ^^

클리오 2005-08-19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괜시리 심각한 학문을 전공하는 몇몇 사람들이 있지요... ^^;

2005-08-19 20: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2005-08-20 2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클리오님/ 흐흐...^^
제게만 보이는 님/ 님과 취향이 비슷하다니 이런 황홀한 일이... 어쨌든 이 책은 나쁜 책은 아니예요. 다만 취향에 따라 열광하는 사람과 좀 힘겨워하는- 저같은 사람이 나뉘어질 책 같아요.

kleinsusun 2005-08-20 1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너무도 솔직한 리뷰에 힘을 얻고 갑니다.
저도 SF가 버겁거든요. 제 상상력을 타박하고 있었지요. ㅋㅋ

바람돌이 2005-08-20 2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선님의 글에서 제가 항상 용기를 얻는데, 한번쯤 저도 님에게 힘을.... 근데 잘 못하는걸로 힘을 줘도 되남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