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전5권 세트 ㅣ 메피스토(Mephisto) 13
더글러스 애덤스 지음, 김선형 외 옮김 / 책세상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내가 이 책을 왜 봤을까? SF매니아도 아니고(매니아이기는 커녕 난 영화도 SF영화는 별로 안좋아한다.)...
다만 이 책이 재출간되었을 때 알라딘의 그 열광적이던 반응과 그리고 끝내주는 제목 때문이었을 것이다. 5권이나 되는 분량이 나를 망설이게 했지만 쉽게 읽히리라는 나의 성급한 판단이 이 책을 들게했다.
하지만 결론은 절대로 쉽게 안읽히더라.... 저자의 말도안되는 종횡무진한 우주적 농담을 따라가기에는 내 호흡이 너무 짧더군.... 이 책을 보기전에 주의할 것. 당신이 가지고 있는 어떤 과학적 지식도 버려라. 쓸데없이 과학지식을 가지고 이것저것 재볼려고 하다간 아마 평생이 걸려도 이 책을 다 못읽을 것이다. 왜냐고... 과학적 근거가 있는 소리는 이 책에 단 한줄도 없으니까... 다 황당한 농담일뿐이다. 그것이 너무 황당하고 시시껄렁해서 오히려 책장이 안넘어가는 이런 황당한 일이..
그럼에도 이 책이 보여주는 세계는 그리 낯설지 않다. 무대가 시간과 공간을 제 마음대로 넘나들지만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세계의 모델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라는 이 공간이다. 이 지구라는 공간이 얼마나 말도 안되고 웃기는 공간인지... 그 속에 살고있는 인간이란 존재들도 같이 말이다. 이 책은 바로 이 세계를 인간이라는 존재를 마음껏 비웃고 있다. 이런걸 영국식 농담이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경우에는 박장대소를 어떤 경우에는 실소를, 또 어떤 경우에는 도대체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하여튼 내가 아는 모든 웃음의 감정을 다 끼득거려 가면서 이 책을 봤다.
하지만 이 책의 기본적인 웃음은 '냉소'다. 그것도 지독한 냉소. 그는 인간성에 대한 지구의 미래에 대한 어떠한 희망도 얘기하지 않는다. 말도 안되는 이 지구라는 공간을 냉소하고 비웃고 있을 뿐이다. 처음에는 박장대소하면서 보다가 점점 더 책갈피가 넘어가지 않는 이유의 많은 부분이 이 냉소의 덕분일 것이다. "그래도 세상은 좀 나아지고 있는거야"라고 애써 자위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저자의 '냉소'는 참 힘겹다.
이 책을 쓴 저자는 행복할까? 이런 냉소뒤에 남는 것은 뭘까? 책의 마지막은 결론을 제시한다. 행복하지 않는 결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