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봉 이광희 선생님의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1 10살부터 읽는 어린이 교양 역사
박은봉 외 지음, 김경옥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어린이 역사책은 생각보다 참 많다.
그런데 종류를 나눠보면 두가지로 나눌수도 있다.
제대로 썼으나 재미는 없는 역사책, 그리고 재밌지만 허황된 역사책(아니 야담류라고 해야할까?)
제대로 쓰면서 아이들이 쉽고 재밌게 볼수있는 그런 역사책이란게 참 말이 쉽지 어디 정말 쉬운 일일까?
박은봉선생은 이런 면에서 어린이 역사책의 새로운 지평을 연 분이라 할만하다.
그런 박은봉선생이 이광희, 김경옥이라는 두 사람을 만나 작품을 만들어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진실 내지는 상식이라고 믿는 이야기들이 있다.
가난한 평민 바보 온달이 울보공주의 이야기, 해골물 마신 원효,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고 했다는 최영장군, 붓두껍에 목화씨를 몰래 감춰왔다는 문익점.......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들이 사실이 아니라는 컨셉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호기심을 자아내게 하기에 충분하다.
이런 컨셉이 또한 평범하게 서술되어졌다면 이 책의 가치는 반으로 줄어들었을터이다.
컨셉의 참신성과 함께 박은봉선생의 정확한 역사서술, 이광희 선생의 아이들의 눈높이에 딱 맞춘 대화체의 서술, 그리고 김경옥선생의 호기심을 자아내는 만화들과 삽화, 자료까지.... 
어린이 역사 책이 갖추어야 할 3박자를 모두 제대로 갖추고 있는 모범이라 할만하겠다.

그런데 중간 중간 맘에 걸렸던 점들이 꽤 있었다.
어른들이 볼 책이라면 이건 이 사람의 관점이야 하면서 별 생각없이 넘어갔겠지만 이 책의 독자는 대부분이 어린이들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꼭 짚고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영장군>편에서 고려뉴스라는 꼭지를 두며 최영장군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요동정벌과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을 다루는 부분은 지나치게 최영에 기울어져 서술되었다. 당시에 있어서 요동정벌이 최선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다. 또한 외교로 풀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어떤 외교적 노력도 없이 바로 전쟁으로 돌입하는 것이 위정자로서 올바른 판단인가 하는 문제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그런데 여기서는 직접적 언급은 아니지만 문맥상으로 보면 요동정벌을 명했던 최영의 손을 거의 들어주고 있다. 그 원대한 꿈이 이성계때문에 깨졌다는 식으로.... 적어도 나는 고대의 영토확장이라고 해서 무조건 위대한 우리민족식의 서술을 상당히 걱정스럽게 바라보는 쪽이다. 그런 식의 역사서술이 가져오는 폐해쪽이 요즘 너무 크기때문에....
그리고 뭐 웃자고 하는 얘기일수도 있지만 최영이 아버지의 유언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를 지키고 살 수 있었던건 권문세족이었던 최영네 집안에 황금이 많아서가 아니었을까? 청렴함을 강조하기에는 너무 잘 살았던 것 같은데말이다.  

<강감찬의 귀주대첩편>
살수대첩의 명성덕분에 귀주대첩이 강물을 이용한 승리였다고 흔히 오해되는 문제를 짚어놨다. 그와 더불어 거란과의 대립과정, 전투과정을 재밌게 서술해 놓은 점도 눈에 띈다. 그런데 과연 귀주대첩이 강물을 이용한 것이었나 아닌가가 그렇게 중요한 문제일까?
귀주대첩에 대해 흔히 알려져있는 오류 중의 또 하나가 살수대첩이나 한산도대첩처럼 귀주대첩 역시 적은 수의 우리 군사가 많은 수의 거란군을 무찔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전혀 사실이 아닌 것으로 10만 거란군을 맞이했던 것은 소수의 고려군이 아니라 거란군의 4배에 달하는 40만대군의 고려군이었다. 나는 거란대첩의 역사적 평가가 바로 이 부분에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려는 1,2차 침입에서 거란에 대응하기 힘들었을때 어떻게든 외교적 노력을 다하여 전쟁의 피해를 최소화시켰다. 그리고 시간을 번 것. 그 시간을 헛되이 쓰지 않고 다시 있을 거란의 침입에 대한 대비를 확실하게 했던게 바로 귀주대첩의 결과다.
알다시피 귀주대첩은 거란의 3차침입이었다. 이 3차침입이 있기까지 고려가 아무 준비가 없었다면 그야말로 고려는 망해도 싼 나라가 아니었을까 말이다. 외적의 침입에 대응하는 국가와 위정자의 올바른 자세에 대해서 아이들과 공감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바로 이 귀주대첩이 아닐까 싶은데 이것은 귀주대첩이 강을 배경으로 싸웠느냐 아니냐 하는 문제보다 더 중요하게 다뤄졌어야 되지 않을까 싶은데 완전히 비켜가 버린 건 아쉬움으로 남는다. 

<문익점편>
이 편은 약간의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역사공부라는 것이 단순히 호기심을 충족시키거나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는데 거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상상력과 사고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좀 더 했으면 하는 것이다.
전체 꼭지를 풀어나가기 전에 이런 질문을 던지는 건 어떨까?
"문익점이 목화씨를 붓두껍에 숨겨서 왔다는 데 말야. 근데 참 이상하지? 문익점이 목화씨를 숨겨왔다는 것은 원나라가 목화씨가 나라 밖으로 나가는 걸  금지했다는 말이잖아? 근데 왜 그랬을까? 목화씨가 무슨 군사기밀도 아니고 비밀 무기도 아닐텐데 말야. 게다가 당시에 원나라가 우리나라에 목화씨로 만든 솜을 수출했을리도 없고... 여기에 우리가 모르는 무슨 비밀이 있을까? 아니면 혹시 문익점이 목화씨를 숨겨왔다는 것은 거짓말? "
뭐 거칠긴 하지만 이런 질문 하나 정도를 서두에 던져준다면 책을 읽는 어린이들이나 아니면 같이 읽어주는 어른들이 한템포 쉬면서 어린이들의 생각을 한 번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질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잠시의 생각이겠지만 이런 의문과 고민의 여지를 주는 것, 어린이 책이 신경쓰고 갖추어야 할 점이 아닐까 싶어 얘기해본다.  

간단한 의문점 하나
책의 102쪽 - <고려 때는 소나 돼지를 잡는 사람을 양수척 또는 화척이라고 했어요. 양수척은 도살업 말고도 버드나무 가지로 바구니를 만들거나 소고기, 돼지고기를 팔며 살아가기도 했는데, 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화척이나 재인으로 불리지요.> 양수척이 화척으로 불리운건 맞는데 재인은 흔히 광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물론 양수척들의 일부가 생계를 위해 광대업을 겸업하는 경우도 있었겠고, 그래서 양수척, 화척, 재인이 불명확하게 섞여서 쓰이는 경우가 일정 시기에 있었을수도 있겠다. 하지만 뒤쪽으로 오면 보통 재인은 광대로 거의 고정되어서 쓰이는데 이를 양수척과 동일업으로 놔버리는건 혼란의 여지가 있을듯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08-12-31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책과함께'에서 드디어 어린이 역사책이 나왔군요!
전에 신간정보에서 박은봉님의 사진과 함께 이 책이 떴을 때 빌려보려고 맘 먹었는데, 요즘 제 사는 것이 워낙 정신이 없어서 잠시 잊었네요. 다음 도서관 가는 걸음에는 잊지 않고 꼭 빌려 볼게요^^

강감찬의 귀주대첩편에 대한 바람돌이님의 탁월한 분석과 설명 잘 들었습니다.
역시 바람돌이님~~^^
바람돌이님도 언젠가 예린이와 해아를 위해 어린이가 보는 역사책 한 권 지어보는 건 어떠실까 하는 생각이 불쑥 드네요. 필요하다면 어린이 눈높이에서 조잘거리는 건 저도 도와드릴 수 있는데..^^ 저는 우리애들한테 동화 한 권 써주고 싶어서 시작한 일이었는데 단편 두어 편 쓴 것 외엔 아무 실적없이 작은 놈 영이가 내년에 중딩이 된다네요~에혀..


바람돌이 2009-01-02 11:05   좋아요 0 | URL
설마요. 책을 읽고 뭐라 주절대는것까지가 제 한계인걸요. 세상의 나무들을 쓸데없는 책 한권을 위해서 낭비할 수는 없어요.
저는 오히려 진주님의 글솜씨라면 가능할 듯한데요.... 혹시 쓰신다면 제가 도움드릴 수 있는길츨 찾아주세요. ㅎㅎ
글구 세월 정말 빠르네요. 윤이 중학교 들어간다고 한게 엊그제 같은데 영이도 이제 중학교라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