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의 기쁨 - 책 읽고 싶어지는 책
김겨울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4년 5월
평점 :
책을 읽어야지 하면서도 몸이 피곤할 때는 그냥 스마트폰으로 손이 간다.
다들 경험이 있으시겠지만 이놈의 스마트폰이 시간 잡아먹는 귀신이다.
유튜브를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아니면 이것저것 하여튼 시간은 잡아먹는데 막상 하고 나면 허탈하다.
김겨울작가님도 그런가보다.
이상한 일이다. 게임도 TV도 컴퓨터도 핸드폰도 한참 하면 공허한데, 책은 그렇지가 않다. 하루 종일 컴퓨터만 하다가 침대에 누웠을 때, 침대에 누워 한참 동안 핸드폰을 만지다가 화면을 껐을 때 조용한 마음에 이상하게 들어차는 그 허전한 느낌을 여러분도 알 것이다. 어딘가에 말을 걸고 싶고 무언가 충만한 일을 하고 싶을 때, 책은 늘 그 자리에 있다. 여러분이 손만 뻗는다면. - 61쪽
하....
그렇구 말구요.
그럼에도 한동안 손에서 놓은 책은 또 쉽게 잡히지 않는다.
저 드라마 완결을 봐야 하는데, 저 게임 만렙 깨야 하는데.... 뭐 이런 쓸데없는 성취욕에 불타는 것이다.
이럴 때는 역시 책에 관한 책이다.
가볍게 들고 읽다보면 다른 책을 보고 싶은 욕구가 무럭 무럭 솟아나는 것이다.
이 책 <독서의 기쁨>은 다시 책을 보고싶게 만들어준다.
병원의 처방전을 받은 듯한 느낌이랄까?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다 아는 얘기고, 다 느껴본 감정들이지만 그걸 누가 이렇게 옆에서 얘기해주면 그래 그래 맞장구를 절로 치게되면서 역시 책이야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는건 힐링의 시간이다.
나랑 똑같은 감정, 똑같은 생각을 가진 이가 뭉뜽거려져 있는 내 속 마음을 하나 하나 풀어가며 조곤조곤 얘기해주니 내 속마음이 시원하게 풀어지는 그런 책.
결국 책 디자인은 그 형태가 내용을 얼마나 잘 반영하느냐의 문제이기도 하다. 촉감과 시각적쾌감이 내용과 딱 들어맞았을 때 우리는 디자인의 완성도가 높다고 느낀다. 자주 받는 질문이 양장과 반양장, 페이퍼백 중 어떤 형태를 선호하느냐는 질문인데, 늘 나의 대답은 같다. 그건 책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오래 두고 볼 책이라면 당연히 양장을 택해야 할 테고, 들고 다니며 읽고 싶다면 페이퍼백이 좋을 테다. -28쪽
책의 물성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 내게는 이런 책의 만듦새나 가름끈같은 책의 부속품들에 대한 이야기도 좋았다.
책으로 가득찬 내 방에서 느껴지는 뿌듯함의 정체를 언제든 내가 세계와 연결되어 있음을 인정하고, 언제든 그 세계가 나를 재구성함을 허락하는 행위다(117쪽)라고 규정해 줄 때 책은 더 이상 약간의 죄책감을 동반한 짐 덩어리가 아니라 나와 세계의 연결지점이 된다.
새해마다 하는 결심
올해는 더 많이 읽고 더 많이 생각하고 더 많이 쓰야지라는 결심을 북돋워주는 시간은 이 책 독서의 기쁨이 가져다주는 가장 큰 혜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