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트를 읽어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알 수 있다. 뭉크의 노트에 ‘절규‘라는 말은 없다는 점이다. 절규. 누가 처음 한국어로 번역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노르웨이어 스크리크skrik 는 있는 힘을다하여 부르짖는 ‘절규‘보다는 너무 놀라 지르는 외마디 소리인 ‘비명‘으로 해석하는 게 더 적절하다. 이 그림을 더 정화히 이해하는 데도 ‘비명‘이라는 단어가 도움이 된다.
- P57

신경 쇠약과 현기증을 자주 느꼈던 20대의 뭉크의 불안한 심리상태를 생각해보면, 이토록 강렬한 색감을 품은 거대한 자연의 모습은 뭉크에게 위협적으로 다가왔고 시각적 충격을 주었을 것이다.
뭉크는 이 시각적 충격을 청각적으로 ‘자연의 비명‘이라 표현했고,
그 비명을 듣는 자신의 심리 상태를 다시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바로 <절규>라는 그림이다.
- P61

자신의 경험을 주관적으로 드러내다 보니 기술적으로 이를 보완할 새로운 방법이 필요했던 것이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그저 자연을 관찰하듯이 볼 수는없는 법이다. 그것은 분명 강렬한 비극적 경험으로,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찢어지는 가슴으로 느끼는 것이었으리라.
- P105

뭉크는 자신이 세상에 보여줘야 할 그림은 살아 숨 쉬고, 느끼고,
아파하고, 사랑하는, 살아 있는 인간의 모습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그 강렬한 삶의 순간들이야말로 진정한 감동과 경의를 끌어낼 수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 P198

뭉크가 살던 시대에는 화가들이 그림에 담을 모티프, 주제, 화풍,
기법에 집중했을 뿐 그림을 어떻게 전시하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에 대한 생각은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그러나 뭉크는 그림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림 하나하나가 모여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어떻게 배치해야 가장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있을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뭉크는 그림에서 뿐만 아니라 전시 기획과 디자인에서도 시대를 앞서간 예술가였다.
- P223

나는 예술로 삶과 그것의 의미를 설명하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내그림들이 다른 이들에게 자신의 삶을 좀 더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뭉크의 노트(MM T 46, 1930~1934) - P3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