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는 흔히 비수라고도 하며 허리띠나 옷섶안에 노리개를 달아 차고 다니는 것은 패도(佩刀)라 하고, 주머니속에 지니는 것은 낭도(囊刀)라 한다.
은장도는 보통 원통형이나 을(乙)자형 혹은 네모나 여덟모의 다각형 등 형태가 다양한데 칼집의 무늬가 화사한 것 뿐 아니라 매듭이나 보옥을 달아 아름답게 의장하여 노리개감으로도 훌륭하게 장식하곤 했다.
사진 상단 은장도는 전면 고리 중앙에 보상화문을 새겼으며, 첨사라는 은젓가락은 젓가락 구실과 음식물의 부패와 독성 여부를 감별하도록 했다. 은장도 뒷면에는 소나무, 해, 산, 물, 돌, 구름,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 십장생 문양을 새겨 장생불사의 희망과 꿈을 담았다.
그러나 이 땅 규방 여인들의 장신구겸 보신용의 은장도를 보면 장수를 빌고 액을 물리치고 부부의 화합을 기원하는 외에도 정절과 충절의 상징으로서 더 가깝게 다가오는 것 같다.
할머니에게서 어머니에게로 다시 그 딸에게로 대물림하면서 여자의 바람직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가르치고 계승시키는 상징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진 하단의 단추집은 두껍고 질기며 질좋은 조선종이로 만들었으며 시커멓게 옻칠한 뚜껑에는 오복을 상징하는 박쥐 다섯 마리가 주칠로 그려져 있다. 안에 든 단추들은 조선 말기에 옷고름 대신에 등장한 것들이다.
♣ 자료문의 053)745-5373 이무열
|
은장도 앞면, 은장도 뒷면.
길이 13.4cm 조선시대
단추집. 지름 11.2cm 조선시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