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의 피크닉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5년 9월
평점 :
밤의 피크닉은, 온다리쿠 식의 미스터리에 별로 감흥을 받지 않는 사람이 읽어도 괜찮을 책이다. 미스터리같은 느낌을 주면서도 미스터리가 아닌 약간은 낭만적인 느낌의 소설. 내가 그동안 읽어온 온다 리쿠의 소설들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가족이라는 대전제를 끌고 들어와서 그런가?
다카코와 도오루가 다니는 학교에는 수학여행 대신 보행제를 실시한다. 보행제라 함은, 일종의 걷기대회 같은 건데, 우리나라의 국토순례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행사이다. 보행제와 비슷한 행사에 참여해 본 적이 전혀 없는 나지만, 소설을 읽는 동안, 이건 등산과도 비슷한거야..라는 생각을 했다. 자기 자신과의 싸움, 몸은 지쳐가지만 곧 눈앞에 마주한 정상을 향해 걷고 오르고 또 걷는, 대피소 부근에서 한숨 쉬고 또 걸어가는 등산을 떠올렸다. 그리고, 비약적이긴 하지만, 매년 고생을 하면서도 또 다시 보행제를 시작할 때쯤이면 고생한 것은 다 잊어버리고 설레임과 보행제 이후의 감동만 남아있어 기대를 하게 되고 막상 보행제가 시작되면 예전의 악몽을 다시 떠올리는 과정은 출산(出産)과도 맞닿은 느낌을 준다.
다카코와 도오루는, 서로 상대가 자기를 싫어할거라 생각하는 소년소녀다. 물론 다른 친구들의 눈에는 오히려 그것이 두 사람 사이의 모종의 약속, 그러니까 두 사람이 사귀는 게 아닐까라는 묘한 분위기를 만들어내지만 말이다. 왜 그럴까? 라는 의문을 가진 채 이 소설을 읽었다. 대답은 의외로 빨리 나와버렸다. 그러니까 두 사람 사이의 관계라는 건 미스터리가 아니다. 오히려 사카키 안나의 엽서 내용 속의 주문이 무엇인지가 더 궁금증을 유발하기는 하지만 이 소설은 미스터리는 아니라는 생각은 더 강하게 든다. 그래서 그동안 온다리쿠의 똑같은 느낌의 소설들에 약간 질려가고 있던 나에게 이 책은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두 사람이 두 사람의 관계를 개선시키고 서로가 원했던 방향으로 결론을 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그들의 친구들 (가깝게는, 시오루와 미와코, 멀게는 안나까지)이다. 온다 리쿠의 소설에서, 쓸데없이 지면만 장식하는 주변인물들이 많다고 느꼈던 내게, 이 소설 속 친구들은 각자의 역할을 잘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 인물들이 이렇게 자기 역할을 제대로 해야지.
안나의 동생 준야의 등장은, 그런 보행제나 수학여행 같이 밤을 지새는 행사가 있을때면 의례 이야기꽃을 피우기 마련인 유령이야기로부터 시작한다. 또 학교괴담시리즈인가? 라고 생각했는데 그것의 진실도 너무나 쉽게 밝혀진다. 오히려, 이 소설에서는 미스터리적인 요소가 없어서 좋다.
대학수험을 앞둔 고3에게 보행제가 주는 의미는 다양할 것 같다. 친구들과의 고교시절에 대한 추억을 남기는 의미로도 가치가 있지만, 끝날 것 같지 않던 그 코스를 끝내고, 골인지점에 도착하기까지 서로를 도와가며 목표를 이루는 그 행사를 통해 긴 수험생활에 지칠 수 밖에 없는 고3학생의 마음을 드러내보여준다. 극기훈련이라는 말로도 대체할 수 있겠지만, 단 시간에 이루어지는 극기훈련과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길을 걷고 또 걷는 동안, 자기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한 다음에 맛보는 감동. 이 보행제를 떠올릴 때마다 고통보다는 그 감동을 떠올리는 것이 바로 보행제를 통해 참의미를 깨닫는 것이 아닐까.
의외로 가족-이라고 하기에는 그 간극이 지나치게 벌어져 있지만-간의 단절된 틈을 보행제라는 행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메웠다. 거기에다가 진한 우정의 주문, 미와코와 안나의 배려, 준야의 엉뚱한 행동, 도우루와 시노부의 우정, 고이치로의 엉뚱한 모습까지..모두 아름답게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