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구슬
미셸 투르니에 지음, 이세욱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셸 투르니에의 [흡혈귀의 비상]을 읽은 이후 오랜만에 그의 작품을 만났다. 사막에서 생활하는 이드리스는 랜드로버를 탄 금발머리 여자에게 사진을 찍힌 이후, 그 사진을 찾아 프랑스로 떠난다. 이드리스가 알고 있는 정보는, 금발머리 여자가 파리에 있다는 것, 그것 하나뿐이다.

사진에 찍히면 자신의 영혼까지 뺏기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비단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생활하는 타벨발라의 사람들뿐만 아니라 과거의 우리 조상들도 그러했다. 내 이미지가 사진이라는 이미지로 재탄생하는 것을 처음 본 사람들로서는 당연한 생각이 아니었을까? 라디오 속에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고, 텔레비전 속에서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이미지로 형상화된 내 모습을 바라볼 수 있는 사진은 더욱 그런 생각을 부채질했을 법하다.

어쨌든, 사막의 이드리스는 자신의 사진을 찾기 위해 프랑스로 떠난다. 자기를 지켜주리라 생각했던 황금구슬-불라 아우레아-를 몸에 지니고서. 이드리스가 프랑스의 파리까지 가는 여정은 문명이라고 부르는 것들과의 조우였다. 그렇지만 이드리스가 만난 문명은 가짜-이미지-들로 가득찬 것들이었다. 사막은 이드리스가 늘 생활하는 곳이지만, '사하라'라는 이름을 가진 사막의 이미지는 이드리스가 살고 있는 사막이 아니었다. 가난하고 모자라고 비어있어서 고통을 겪고 있는(p.203) 사막의 오아시스는 금발머리의 여인이 있는 화려한 호텔의 배경으로서 존재한다. 사막의 길동무이자 고기를 조달해주는 낙타도 파리에서는 동물원이나 서커스단의 구경거리에 지나지 않는다.

이드리스가 만난 문명은 온통 진실을 숨긴 이미지들이었다. 여기에 있는 모든 것들은 눈을 위한 (p.276)것일 뿐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책을 읽다 보면 눈으로 보는 것만이 진실이 아니란 것을 깨닫게 한다.

내용 중에 이드리스가 낙타를 도살장으로 끌고 가는 장면이 나오는데, 동물원이나 서커스단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는 낙타의 모습은 슬프다. 그것은, 도시를 걷고 있어도,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온 이드리스와 함께 걷고 있을 때 낙타로서의 자신을 찾을 수 있지, 사람들의 함성소리에 파묻힌 낙타는 이미 낙타가 아니기 때문이다.

"눈으로만 보세요"라는 문구가 결코 낯설지 않은 우리는 그것이 실제가 아니라 이미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한다. 딴소리지만, 손으로 만질 수 있고 작동해볼 수 있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전시가 더 마음에 와닿고 기억에 남지 눈으로만 본 전시물은 전시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과 같다.

라디오를 들을 때 우리는 소리만으로도 충분히 상황을 상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텔레비전이 나오고 영화가 나오면서 이미지로 전환된 그것 외에는 더이상의 의식확장을 하기가 어려워진 것도 사실이다. 물론, 이미지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백분 발휘하는 작품도 있긴 하지만 그런 작품이 드물기 때문에 칭송받는 게 아닐까? 어쨌거나, 이드리스가 자신의 사진을 찾아 여행(?)을 하는 동안, 문명이라는 이름에 가려진 이미지들 속에서 이드리스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애를 쓴다. 자신을 지켜줄 것이라 믿었던 황금구슬을 창녀에게 어이없이 빼앗긴 이후 이드리스의 혼란은 점점 가중되지만, 마지막에 황금구슬을 다시 되찾음으로써 이드리스의 혼란은 막을 내린다.

아랍의 캘리그래피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것이지만, 손으로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 호흡법을 조절하고, 시간을 들여 글을 씀으로써 시간의 무게를 느끼는 기쁨을 얻는 게 어떤 것인지 잘 알게 되었다. 미셸 투르니에는 작품과, 번역자와의 대담을 통해 이미지보다 기호가 중요함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깊이를 다 모른다 할지라도 캘리그래피를 통해 기호들을 통한 이미지의 해방이 어떤 것인지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기억에 남는 구절>

'이미지는 나쁜 힘을 가지고 있어. 너는 이미지가 충실하고 헌신적인 하녀 같은 것이기를 바랄지 모르겠다만, 이미지는 그런 하녀가 아냐. 겉으로는 어느 모로 보나 영락없는 하녀지. 하지만 실제로 음흉하고 거짓말 잘하고 오만한 여자야. 순종하기는 커녕 고약하게도 너를 노예로 만들겠다는 열망을 품고 있어.'(p.163-164)

이 책에서는 이민노동자들에 대한 이야기도 다루고 있는데 아래의 몇 구절을 통해, 얼마 전에 읽었던 '커피와 소브로빵'이라는 소설이 생각났다.

'살빛이 검고 머리가 곱슬곱슬해서 우리와 생김새가 비슷한 자들일수록 우리를 대하는 태도가 더 거만해.'(p.198)

'결국 그 낙타는 이민노동자들과 같은 신세가 되고 말았군요. 우리는 그들을 빌려왔다고 생각했고 필요가 없어지면 그들 나라로 돌려보낼 수 있다고 믿었죠. 그러다가 이제야 우리가 그들을 샀고 그래서 프랑스에 계속 머물게 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는거죠.'(p.255)

투르니에의 소설을 읽는 내내, 천천히 몇번이나 곱씹어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 속에 투르니에가 인용한 구절 및 짧은 그의 시는 한번 읽은 걸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첫째는 그가 인용한 구절이 있는 원문을 다 읽어보지 못해서일 것이고, 둘째는 그걸 알았다 치더라도 이 소설 속에 언급한 인과성을 제대로 잡아내지 못한 나의 무지일 것이다. 그러나, 투르니에의 말을 빌러 결론을 내리자면 과도한 주석으로 인해 소설이 무겁게 되는 것보다 소설에서 즐거움을 얻(p,387)는다면 그걸로 된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